네, 안녕하세요.
습공기의 엔탈피는 0℃ 건조공기(절대습도 0kg/kg DA)를 기준으로 하여 증감을 계산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건조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현열량과
절대습도량이 0℃ 에 증발하여(증발잠열 2501kJ/kg) 해당 온도까지 변화된 잠열과 현열량의 합이며
습공기에서는 전자를 현열 후자를 잠열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식은 건조공기 1kg당 수분까지 포함한 해석이므로
현열 = Cp ×Δt=Cp ×t
잠열 = (χ × 2501) + (χ × 1.85× Δt) =χ( 2501+ 1.85× t)
여기서 온도차는 해당온도에서 0도 기준인 0을 빼는 부분이라 해당 온도를 바로 적용하여 계산하고
수증기의 비열은 1.08이 아니고 1.85가 됩니다.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현열 = 1.01 × 30 = 30.3
잠열 = 0.0271 × (2501+1.85 ×30)=69.281
엔탈피=전열=현열+잠열=30.3+69.281=99.581=99.58 kJ/kg 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