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공조냉동기사 실기교재 61페이지, 63페이지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기타사항
글쓴이 박*영 등록일 2025.11.0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질문1)

    교재 16번 장치도에서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습압축으로 간주하여

    증발기 토출 엔탈피 8점이 습증기구역에 표시된걸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그리고 저압수액기에서 나온 9점은 열교환을 통해 고온을 얻어 건포화증기가 

    된건가요?  만일 그렇다면  9번이 과열증기가 될수도 있는데 문제에서는 어떤

    부수적인 설명도 없는데 9번이 과열증기가 아닌 딱 건포화증기가 되는건 왜 그런지요

    (질문2)

    저압수액기(만액식)가 있으면 증발기 설치위치는 저압수액기 수면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어

    증발기 입구점 엔탈피를 P - h선도상에 표시할때 입구점압력을 P = rh만큼 높게 표시하는데

    그래서 63페이지 문제17에서는 증발기입구점 엔탈피6번을 수직으로 높게 표시하였는데

    16번 문제에서는 증발기입구점 엔탈피 7번의 압력을 6번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제가 잘못 이해하고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 강희중 |(2025.11.04 19:13)

    네, 안녕하세요.

    질물1) 우선 만액식 증발기에 대해 공부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교재 61페이지 16번 문제의 경우 다른 사이클과 다르게 표현되는데 그 이유는 두가지로

      첫째) 여기서 열교환기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기(액가스열교환기가 아님)로 액과 액이 열교환하는 형태로 아래 배관은 액과 오일이 혼합된  소량의 저온저압 냉매액이 고온고압 냉매액과 열교환하여 증발한 가스 만 압축기로 흘러가며 남은 오일을 회수하는 시스템이 됩니다. 다만 오일 회수에 대한 계통도는 누락된 그림입니다.

      둘째)

    습증기로 출구점을 갖는 이유는 만액식 증발기의 설계는 의도적으로 냉동효과보다 더 많은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냉동효과(냉동능력)만큼만 증발하고 나머지는 액의 상태로 저압수수액기에 흘러 들어가는 구조로 설계를 하기 때문에 항상 습증기 상태가 됩니다. 

    이유는 만액식 증발기는 대부분의 열교환 면적에서 액이 가득찬 상태로 증발해야 하기 때문에 증발기에 순환하는 양은 냉동효과에 필요한 양보다 많이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저압수액기의 가스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건포화증기 상태이고 구조상 가스만 압축기로 흡입되게 되어 있으므로 건포화증기가 됩니다.

    해설에서는 만액식 증발기의 구조를 이해한 상태로 해당 문제만 풀이하다 보니 부족한 면이 있었나 보내요. 26년 개정판은 해당 내용을 추가하는 안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질문 2) 네 잘 파악하셨습니다.

    분명 만액식은 액주의 높이 만큼 차이가 나서 해당 액주높이 만큼 구분을 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16번 같은 경우는 저압수액기와 증발기의 위치가 거의 같은 경우로 설계되는 부분이라 액주만큼의 압력 차이는 미미해서 선도상 수평으로 표시한 부분이며

    17번 같은 경우는 액주높이도 많이 차이나지만 액펌프 전후단으로 확실한 냉매압 차이가 발생하는 관계로 그 부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4점과 6점의 압력차를 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액펌프가 있는 강제순환식 증발기의 경우는 그 전후 압력차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액펌프 없는 일반적인 만액식 증발기는 그 위치 차가 확연하게 차이나고 문제에서도 요구조건일 때 수두압 차이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액주를 표시한 선도도 있고 16번 문제처럼 표시하지 않은 선도도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