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질물1) 우선 만액식 증발기에 대해 공부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교재 61페이지 16번 문제의 경우 다른 사이클과 다르게 표현되는데 그 이유는 두가지로
첫째) 여기서 열교환기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열교환기(액가스열교환기가 아님)로 액과 액이 열교환하는 형태로 아래 배관은 액과 오일이 혼합된 소량의 저온저압 냉매액이 고온고압 냉매액과 열교환하여 증발한 가스 만 압축기로 흘러가며 남은 오일을 회수하는 시스템이 됩니다. 다만 오일 회수에 대한 계통도는 누락된 그림입니다.
둘째)
습증기로 출구점을 갖는 이유는 만액식 증발기의 설계는 의도적으로 냉동효과보다 더 많은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냉동효과(냉동능력)만큼만 증발하고 나머지는 액의 상태로 저압수수액기에 흘러 들어가는 구조로 설계를 하기 때문에 항상 습증기 상태가 됩니다.
이유는 만액식 증발기는 대부분의 열교환 면적에서 액이 가득찬 상태로 증발해야 하기 때문에 증발기에 순환하는 양은 냉동효과에 필요한 양보다 많이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저압수액기의 가스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건포화증기 상태이고 구조상 가스만 압축기로 흡입되게 되어 있으므로 건포화증기가 됩니다.
해설에서는 만액식 증발기의 구조를 이해한 상태로 해당 문제만 풀이하다 보니 부족한 면이 있었나 보내요. 26년 개정판은 해당 내용을 추가하는 안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질문 2) 네 잘 파악하셨습니다.
분명 만액식은 액주의 높이 만큼 차이가 나서 해당 액주높이 만큼 구분을 하는데 필요한 경우에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16번 같은 경우는 저압수액기와 증발기의 위치가 거의 같은 경우로 설계되는 부분이라 액주만큼의 압력 차이는 미미해서 선도상 수평으로 표시한 부분이며
17번 같은 경우는 액주높이도 많이 차이나지만 액펌프 전후단으로 확실한 냉매압 차이가 발생하는 관계로 그 부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4점과 6점의 압력차를 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액펌프가 있는 강제순환식 증발기의 경우는 그 전후 압력차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액펌프 없는 일반적인 만액식 증발기는 그 위치 차가 확연하게 차이나고 문제에서도 요구조건일 때 수두압 차이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액주를 표시한 선도도 있고 16번 문제처럼 표시하지 않은 선도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