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증발온도가 다른 냉동장치에서 증발기 출구의 과열도가 주어진 문제는 많이 질문하는 유형입니다.
우선 (7)번 점은 저온증발(B증발기)온도 -30℃에서 과열도 10℃가 조건이므로 등압상태로 -30℃에서 10℃도씨 상승된 -20℃ 의 온도점이 됩니다.
(6)번 점은 고온증발(A 증발기)온도 -10℃에서 상기와 같이 10℃ 과열된 0℃의 온도점이며
EPR(증발압력조정밸브)은 증발기의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8)로 압력이 낮아질 때는 교축작용을 통한 등엔탈피 과정이므로 (6)과 (8)의 엔탈피는 같아서 (6)점에서 등엔탈피선을 따라 저온 증발온도에 해당하는 증발압력까지 내려가 만난 교점이 (8)점이 됩니다.
이후 (7)의 온도 -20℃와 (8)의 온도 0℃에 해당하는 A,B 증발기의 냉매가 혼합되면서 (1)은 두 냉매의 계산에 의해 구한 혼합엔탈피 값이며 혼합 시 등압과정이므로 -30℃의 등압선에서의 엔탈피 값이 됩니다.
참고로 아래 그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