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아쉽게 떨어지셨군요. 안타깝습니다.
이번회에 꼭 합격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회에 비해 문제의 난이도는 비슷하나 문제를 직접 풀 경우 시간이나 풀이 과정에 있어 까다로운 문제가 많아 1회가 체감상 어려운 회로 판단 됩니다. 물론 수험자마다 자신 있는 부분이 달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A,B 형 같고 수험자의 제보를 바탕으로 기출문제를 재 구성하다 보니 기억하시는 것과 다른 문제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부분 제보해 주시면 26년 출판에서는 수정하여 출판하도록 하겠습니다.
언제든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부담갖지 말고 질문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귀찮은것 보다는 수험자께서 확실히 알고 문제를 바르게 해석하여 합격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질문에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17년 2회 3번 문제는 실내부하(38.5)와 실내 취출출온도 16.29로 계산해도 됩니다. 따라서 이문제는 전부하와 코일출구온도나 실내 현열부하와 취출구 온도로 계산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2) 14년 2회 7번 문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송풍기 토출동압=송풍기 토출전압-송풍기 토출정압 입니다.
우선 송풍기 전압 = 송풍기 토출전압-송풍기 흡입전압=송풍기 토출정압-송풍기 흡입정압 이고
송풍기 정압 = 송풍기 전압-토출동압(또는 흡입동압)이라서 위 식 송풍기 전압을 대입하면
송풍기 정압 =(송풍기 토출전압-송풍기 흡입전압)-토출동압(또는 흡입동압)
=(송풍기 토출정압-송풍기 흡입정압)-토출동압(또는 흡입동압)
으로 표현될 수 있어서 다 맞는 식이 됩니다.
전압=정압+동압으로 토출 동압 = 토출전압 - 토출정압이 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식으로 표현되어 집니다.
또한 토출측 동압과 흡입측 동압은 같아서 송풍기 정압은 송풍기 전압에서 흡입이든 토출이든 동압을 빼는 식으로 표현 가능 하고
14년 2회 7번 문제처럼 송풍기 정압 = 송풍기 전압-송풍기 토출동압에서 송풍기 토출 동압 대신 (송풍기 토출전압-송풍기 토출 정압)으로 바꾸어 쓸수 있습니다.
송풍기 전압 및 정압 문제가 헷갈리는 것은 토출은 양압이고 흡입은 전압과 정압은 음압이고 동압은 양압의 함수를 갖다 보니 많이 헷갈리는 부분 입니다.
생각해 보시고 그래도 의문되시면 재 질문 바랍니다.
3) 2022년 3회 9번
해당 문제는 이전에는 굴곡을 확실히 보여주기 위해 엘보표시를 하였으나 문제에서 해당 조건이 없고 기술서적에도 선으로만 표시하여 이번 복원문제는 선으로만 표시하였습니다.
하여 이번 기출 답안으로 학습해주시기 바랍니다.
4) 15년 3회 제상 문제
361 페이지의 두개의 증발기가 있는 경우도 팽창밸브를 닫고 어느정도 코일의 냉매액이 증발하여 회수가 되면 3번을 닫고 4번을 열게 됩니다. 다만 해당 설명은 빼고 밸브조작 위주로 설명을 하였습니다.
다른 분도 해당 제상의 의문점을 질문해와서 26년판은 해당 내용을 추가하여 변경할까 검토중입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1~5의 밸브 중 1번만 팽창밸브이며 나머지는 스톱밸브입니다.
기능으로 설명하면 2번과 3번은 핫가스를 증발기로 공급하는 스톱밸브
4번은 수액기 출구 스톱밸브 5번은 압축기 흡입측 스톱밸브가 됩니다.
따라서 압축기 흡입은 제상이든 정상 가동중이든 항상 열려있어야 합니다.
추가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질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