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참고 할 만한 자료는 따로 없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동력식은 처음 배우기에는 다소 어려운 부분은 있지만 하나씩 하다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우선 단위부터 정리를 하면
1) 뉴턴 힘(N)은 질량(kg) × 가속도(m/s2) 즉 1N = 1kg × 1m/s2
2) 일의 양 줄일(J)은 뉴턴 힘으로 이동시키는 양 즉, 1J=1N × 1m
3) 동력 W는 시간당 줄 일이므로 1W=1J/s 가 됩니다.
결국 동력단위 W를 단위 정리하면
동력 W = kg×(m/s2)×m/s = N×m/s = J/s = W
동력의 활용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어떤 무게(뉴턴 힘 N)로 단위시간(s)에 거리(m)를 이동시키는 양이며 (N×m/s=W)
이는 어떤 무게(뉴턴 힘 N)가 속도를 내는 양과 같고 (N×(m/s)=W)
어떤 비중량을 갖는 유량을 어떤 높이로 올리는 양과 같습니다.
r(kN/m3) × Q(m3/s) × H(mAq) = (N×m/s=W)
따라서
수동력 구하는 식 rQH는 비중량×유량×높이(또는 양정)로 계산하게 되며
단위로 보면 (kN/m3) × (m3/s) × (mAq)이고
여기서 m3을 소거하면 kN × m/s = kJ/s = kW 가 됩니다.
또한 효율을 적용하여 나누면(rQH/η) 실제 필요한 축동력 계산식이 됩니다.
송풍기 계통에서는 물처럼 필요한 양정(송풍기 바람의 힘을 물을 올리는 양으로 환산)으로 계산하는 경우도 있지만 덕트에서 전손실인 필요 전압(Pa=N/m2)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많은데
파스칼의 압력법칙을 보면 압력은 비중량 곱하기 양정으로 구할 수 있으며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압력 P(Pa, 파스칼)=r(kN/m3) × H(mAq) = (kN/m2) = (Pa)
따라서 P=rh라서 수동력 rQH의 rH를 전압P로 하여 kW=PQ식으로 송풍기동력을 구할 수 있고 효율을 나누어 kW=PQ/η 로 축동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량의 시간환산(m3/s, m3/min, m3/h)과 N과 kN 또는 W와 kW 그리고 L와 m3의 단위 환산이 필요하여 60, 3600, 103, 10-3 등의 환산계수가 들어가게 됩니다.
열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