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체적유량(L/min)이니 밀도(kg/L)를 곱해야 질량유량이 나오게 됩니다.
물의 밀도는 1kg/L 이므로 브라인은 이보다 1.24배 더 큰 값입니다. (무게든 질량이든 상관없이) 따라서 브라인의 밀도는 1.24kg/L
200L/min×1.24kg/L=248kg/min
0.2m3/min×1240kg/m3=248kg/min
추가설명)
물질량의 상태량 표현인
밀도, 비중, 비중량, 체적, 질량, 체적유량, 질량유량의 의미 및 단위 정리를 잘 하지 못하면 많이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체적단위 1000L=1m3
밀도단위에서 물의 밀도 1kg/L, 1000kg/m3
비중량 = 밀도(kg/m3)× 중력가속도(9.8m/s2) =N//m3
비중 : 물보다 무거운 정도의 비율 즉, 비중=어떤 물질의 비중량/물의 비중량
비중량 환산식에서 중력가속도가 같다면... 비중=어떤 물질의 밀도/물의 밀도
따라서, 비중 1.24 물보다 1.24배 무겁고 중력가속도가 같다면 밀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브라인의 밀도는 1.24kg/L, 1240kg/m3
체적유량과 질량유량의 상관관계 이해 그리고 밀도와 비체적 이해
1) 체적 유량(L/min) × 밀도(kg/L) = 질량유량 (kg/min)
2) 체적 유량(m3/min) × 밀도(kg/m3) = 질량유량 (kg/min)
※ 밀도(kg/m3)와 비체적(m3/kg)은 역수관계이므로 비체적을 나누어도 같은 환산이 된다.
3) 질량 유량(kg/min) × 비체적(L/kg)= 체적유량 (L/min)
4) 질량 유량(kg/min) × 비체적(m3/kg)=체적유량 (m3/min)
※ 밀도(kg/m3)와 비체적(m3/kg)은 역수관계이므로 비체적을 나누어도 같은 환산이 된다.
헷갈리는 부분은 위 네가지 식에서 역수를 취하면 총 8가지의 환산식이 나오고 시간함수까지 감안하면 많은 관계식이 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 헷갈려 하시게 되면 혼동될 수 있으니 잘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