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동체의 안지름 D는 코일 바깥지름과 개수가 일정한 간격(여기서는 P(피치))을 갖게 되는 동체의 지름으로
공학적인 배치를 통한 원통 다관식 열교환기의 동체지름 계산식이 됩니다.
따라서 문제 조건에 식이 주어지지 않으면 암기를 해서 풀어야 하는 난이도 있는 문제가 됩니다.
해당식을 통해 동체의 안지름을 구하면
466mm 원통 안에 코일 바깥지름d(20mm)인 코일 96본이 피치 2d(2×20)의 간격으로 동체에 배치할 수 있다 라는 것입니다.
저도 이 식이 공학적 배치를 통해 나왔다는 정도 만 알고 식의 상수값을 도출하는 상세 과정은 알지 못합니다.
해당 자료나 논문 등을 찾아보면 알수 있겠지만 단순히 결과 식만을 응용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따로 찾아보지는 않았습니다.
다행히 이런 종류의 식은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해당식을 조건으로 주는 문제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기하시는 것도 좋지만 그 순위를 뒤로 밀어서 자주 나오는 중요한 식부터 암기하시고 여유가 되시면 그 때 암기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왜냐하면 식 자체에 여러 함수와 숫자가 들어가는데 하나만 잘못 암기하여도 암기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