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508P 33번 질문 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김*석 등록일 2025.04.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1.코일의 부하를 얻기 위해 엔탈피 차를 써야 할까 하다가 현열 변화이기에 공기의 현열변화식으로 대입해서 풀었는데 답이 전혀 다르게 나왔습니다. 혹시 습구온도가 변화해서 잠열(습도변화)이 발생했나 싶어서 알아보니 습구온도 변화는 현열변화로도 나타난다고 하던데 맞나요?

    2.33번 문제 경우의 경우 공기가 냉각 되니까 습도의 변화도 생기기 때문에 엔탈피 차를 이용해야 하는건가요? 

    3.실양정을 알려면 펌프 개방형과 밀폐형을 구분해야 하는데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외기와 닿으면 개방이고 아니면 밀폐라던데 이해가 안 갑니다. 쉽게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찾아봐도 이해가 안되서 문의 드립니다.

  • 강희중 |(2025.04.10 21:50)

    네, 안녕하세요

    냉각코일의 열량(qc)은

    공기가 냉각된 열량이고(qc=mdh, 공기량(kg/h)에 코일 입출구 엔탈피차를 적용해야 됨, 습구온도와는 상관없음)

    냉수(수돗물)가 얻어간 열량qc=wCdt입니다. 다만 냉수(수돗물)의 출구온도는 모르니 

    qc=mdh를 사용해야 하며

    엔탈피를 사용하는 이유는 냉각으로 인해 온도가 내려가는 현열과 공기 중 습기의 응결(제습, 응축잠열소비)로 인해 절대습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을 더 이해하시려면 공기의 엔탈피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공기의 엔탈피 공식을 살펴보시기바랍니다.

    이해 안되는 부분은 편하게 질문 바랍니다.

     

    3.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개방계 : 지하저수조의 물을 옥상탱크로 올리는 경우

       또는 냉각탑의 물을 응축기를 돌아나와서 냉각탑 수조보다 높은 살수위치까지 올리는 경우

       (여기서 냉각탑의 실양정은 수조수면에서 살수 위치까지)

     

    밀폐계 : 냉동기에서 냉각한 냉수를 10층 높이 공조기에 보내서 배관을 통해 냉동기로 돌아오며 순환하는 경우

                 보일러에서 만든 온수가 최고위층 방열기를 돌아오면서 순환하는 경우

     

     이러면 둘의 차이점이 보이시나요 개방계는 어떤 수면에서 그보다 높은 곳에 올리는 느낌이고

      밀폐계는 연결된(누수가 없는 배관)배관 계통에서 순환입니다.

     여기서, 밀폐계는10층까지 올라간 냉수가 내려갈 때 중력의 힘으로 올라오는 힘을 상쇄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높이에 상관없이 배관이나 기기의 마찰저항을 이길 정도의 힘만 있으면 순환합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