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이 문제는 W와 H를 장변과 단변으로 해석하냐 곡률반경 r을 기준으로 하는가 하는 부분이 의견이 나누어 있었습니다.
한솔도 24년 까지는 단순히 장변을 W, 단변을 H로 해석하였는데
자료 검토 후 W와 H를 장변과 단변으로 보면 곡부의 상당길이 H/W가 1보가 큰 값이 나올 수 없고 항상 작은 값인데 표에는 0.25~4까지 아스펙트비 4의 비율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곡부의 상당길이 도면 예시처럼 곡률반경을 기준으로 W(폭과) H(높이)로 계산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하여 25년 수정하였습니다.
결론 A부는 곡률반경 r 기준으로 단변이 W가 되고 장변이 H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