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25년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질문유형 기타문의 > 기타사항
글쓴이 김*석 등록일 2025.03.26 답변상태 답변완료
  • 기출문제 25P 2번

    문제,선도가 나오는데

    문제 선도에서 

    h6, (h4,h5), h2 

    작도해서 값을 산정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그리고 문제선도에는 밀도가 나오지 않는데

    해답 선도에는 밀도가 나오던데 

    문제선도에서 찾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 강희중 |(2025.03.26 11:53)

    네, 안녕하세요.

    작도까지는 할 수 있으신건가요?

    작도는 글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니 이해 안되는 부분은 다시 질문 바랍니다.

    그리고 해당 선도는 교재에 410선도가 두 개 제공되는데 문제에서는 비체적인 선을 제공하였지만 해설에서는 밀도선이 좀 더 보기 좋은 것 같아 밀도선으로 예시하여 해설 하였습니다.

    따라서 별첨하는 해설의 밀도선으로 작도해보시기 바라며

    교재 문제의 선도는 학습혼란을 주지 않기 위해 다음 차는 밀도선도로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교재 외 나의 강의실 학습페이지를 가면 파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우선 (3) 점은 35도 응축온도(포화액)에서 5도 과냉된 과냉액 30도 선상의 교점입니다.

    이 상태로 팽창밸브에서 증발기 A,B로 공급되며 팽창시 엔탈피는 일정하기 때문에 (3),(4),(5)의 엔탈피는 모두 같고 찾는 법은 아래로 수직선인 등 엔탈피 선을 따라 내려가 읽으면 250이 됩니다.

     

    2.  (7),(8) 은 증발온도가 -10, -30이지만  문제 조건에서 과열도가 10로 주어졌으니

    (7)점은 -10도에서 +10(과열도)이 되어 -10의 건포화증기에서 10과열된 0도까지 등압상태로 진행된(엔탈피 증가방향) 상태점이 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6)점은 -30도 건포화증기는 -20도의 점(6)이 되며 EPR 증발압력 조정밸브를 거쳐 엔탈피 변화없는 (8)점으로 압력이 낮아져 증발기 B(증발온도 -30)의 냉매와 같이 혼합되어 압축되며

    (7)점의 엔탈피는 등엔탈피선을 따라 내려가면 400-450 5칸 사이에 두번째 칸이므로 420이 되며

    (6)=(8)은 400-450 5칸 사이에서 3칸 약간 전이라 428정도로 간주하게 됩니다.

    ※ 여기서 428을 정확하게 찾는 법은 보간법이라 하는데 420과 430의 길이를 재고 엔탈피 차를 적용하는 법으로

     예를들면 420-430의 길이가 5mm이고   (8)의 엔탈피선이 420에서 4mm 정도 진행된 길이라면 

     4mm/5mm = (8의 엔탈피-420)/(430-420) 이므로

     8을 보간법으로 구할 수 있게 되는데 해설의 428을 적용하여 검산해 보면

    4/5=(428-420)/(430-420) → 4/5=8/10=4/5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그림이 작고 복잡하여 보간법을 써도 좋지만 대중잡아 값을 찾아도 오차가 크지 않다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3. (2)점은 혼합점 (1)에서 압축과정으로 등엔트로피선을 따라 35도 응축온도에 해당하는 응축압력선과의 교점이 됩니다.

    이 교점 (2)에서 같은 방법으로 엔탈피를 읽으면 450-500의 네번째 칸이므로 49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종이 선도에 작도를 하다보면 볼펜의 굵기나 평행도에 따라 작도자 마다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4. 문제의 선도는 비체적 선으로  (1)을 작도하여 읽은 값이 비체적이므로 바로 비체적을 찾아 문제에 적용하시면 되고

     해설 선도는 밀도로 주어진 선이므로 밀도=1/비체적 또는 

    비체적=1/밀도 즉 밀도와 비체적은 역수관계이므로 1/밀도= 비체적   으로 환산하여 문제의 비체적란에 대입하였습니다.

     

    글로 표현하여 이해하기 어려우시겠지만 차근차근 학습해보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