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2019-2 / 14번 / 냉매액 강제순환식 냉동장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장*추 등록일 2025.03.22 답변상태 답변완료
  •  

    이전 질문 링크 :  https://engineer.inup.co.kr/post/read.jsp?id=162371&layout=&s_module=

     

     

    0. 문제 및 해설

     

     

     

     

    1. 배관도를 완성하면 아래와 같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압부 점선 ( 파란색으로 표기)

     

     

     

     

    2.  계통도의 흐름과 별개로 장치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

     

    (1) 냉매액 강제순환식 냉동장치 = 액순환식 증발기 같은 표현

     

    이라 할 수 있나요?

     

    그리고 여기서 증발기는 만액식 증발기 인가요?

     

    아니면 만액식 증발기이거나 건식이거나 상관없고

     

    저압수액기 + 액펌프로 "액순환식" , "강제 순환식", "액순환식 증발기"로  구분하는건가요?

     

    (2 ) 균압관과 릴리프 밸브는 생략(?)하고 문제를 내도 무방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따로 이 문제에서 표기한 만큼 어떤  역할을 하나요?

     

     

     

     

    3.  (1) 질문의 연장선일 수도 있는데요. 아래 이미지의 개념정리에서는

     

    만액식 증발기로 표현했는데 바로 아래의 해설에서는 "만액식 보다 적다" 라고 

     

    만액식 증발기와 구별하는 것과 같은 표현이 있어서요. 

     

    만액식이 아니라 건식증발기인 것일까요?

     

     

     

  • 강희중 |(2025.03.23 15:22)

    안녕하세요.

    0. 오타 정정하겠습니다. 규압관 → 균압관 

     

    2. (1) 네, 냉매액 강제순환식이나 액순환식 증발기나 같은 표현입니다.

    액 순환식은 만액식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계통도의 증발기 배치나 크기는 실제와 다르고 여기서는 수액기와 액펌프를 강조하는 계통으로 표현하였습니다.

    2. (2) 액펌프의 가동으로 인한 저압이나 고압을 방지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액펌프흡입에 저압이 형성되면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수 있고 고압이 발생하면 배관의 파손이 될 수 있기 떄문입니다.

     

    3. (1) 건식처럼 보이지만 저압수액기를 갖는 냉동장치는 만액식입니다. 건식일 경우 저압수액기가 필요 없습니다.

     

    장점으로 '만액식 보다 적다' 라는 표현은 액순환을 하지 않는 일반 만액식 증발기 보다 액순환을 통해 전열을 증가시키므로 작은 순환량으로도 같은 냉동능력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