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2020-3 / 12번 / 체크밸브(다이오드형태)의 방향 문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장*추 등록일 2025.03.19 답변상태 답변완료
  •  

     

     

    0. 다이오드의 정방향 역방향 

     

     

     

    다이오드는 전기에서 체크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통상적인 배관도(기계)에서의 체크밸브는 이 기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 다이오드 형태의 체크밸브기호의 상반된 해석

     

    2020년도 3회차에 다이오드와 같은형태로 체크밸브기호가 주어진 문제가 출시되었는데요.

     

    기존의 다이오드의 방향해석 그대로 해석하면 

     

     

    빨간색과 파란색으로 제가 표기한 것 처럼 해석이 됩니다. 

     

    그렇다면 체크밸브를 반대방향으로 잘못 설치한 것이됩니다. 

     

    왜냐하면 고온의 증발기에서 저온의 증발기로 역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인데 


    역류는 전혀 막지 못하고 저온증발기에서 압축기로 가는 흐름을 원천차단 하기 때문입니다.



     

     

    e사의 같은 문제에 대한 복원입니다. 

     

    (사실 저는 이 문제를 건조기의 갯수에 대해 따로 조건이 주어지지 않았을경우 1개 또는 2개 둘다 상관없는 

     

    질문을 올릴려고 했었는데 체크밸브 방향이 완전 반대인 것을 보고 깜작 놀랐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둘 중 하나는 틀린게 분명해 보였기 때문입니다. ) 

     

    4년전에 똑같은 질문을 한솔과 e사 질의응답을 하신분이 있어서 찾아봤는데 

     

    e사 교수님이 답변을 달아 주셨는데 

     

    " 체크 밸브의 표기는 화살표 방향(삼각형의 뽀쪽한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는 것입니다.

    반대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려고 하면 막대기 모양으로 그려진 것이 막아주는 표시 입니다.

    전기의 다이오도와 같은 표시라고 보시면 됩니다. " 

     

    이렇게 근거로 전기의 다이오드에서 차용(?)된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해석하는게 맞다고 답변을 하셨고,

     

    반면에 그 당시에 한영동 교수님의 답변을 찾아보면 한솔의 표현이 맞다고 못박았습니다. 

     

    ( 그렇다면 전기의 다이오드랑 같은 표현으로 보이지만 반대의 원리라는 것인데... 근거가 궁금합니다.)

     

     

     

    2. 공유압 체크밸브 표시 

     

     

    공유압 및 자동제어쪽에서 체크밸브를 표시할때 아래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일한 문제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복원이 되었는데요

     

     

     

     

    e사에서는 기존과 동일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3. 타 출판사의 기출문제 ( e사 아님)

     

     

    링크 :  공조냉동기계기사 한솔아카데미

     

    이전에 2024년 3회차 풀고 수험생들 사이에서 가장 비슷했던 문제로 공감 받았던 기출문제입니

    다.

     

    어디 출판사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출판사에서도 e사와 동일하게 기존 다이오드의 활용 방식대로 체크밸브 방향을 표시하였습니다. 

     

     

     

    4.  21년도 부터  반복되어 질문되는 사항입니다.

     

    빨간박스로 체크한 부분이 다이오드 형태의 체크밸브 방향에 대해 질문하는 글입니다. 

     

     

     

     

    이전의 한영동 교수님, 조성안 교수님, 그리고 강희중 교수님도 이러한 해석을 하시는데 

    기존의 다이오드와 반대로 해석하시는 근거를 혹시 알 수 있을까요?

     

     

     

    분명히 교수님도 오른쪽 방향으로 설명하셨다가 강의까지 재촬영 한것을 보면

     

    분명 근거가 있을것 같긴한데요..


    다이오드처럼 생겼지만 사실 기계쪽에서는 반대로 해석하는 별도의 기호인가요???

    ( 그렇다면 분명 규격, 메뉴얼 관련 책자 이런곳에 근거가 있을 것 같긴한데 답변에서는 따로 말씀안해주셔서 질문드립니다.)

     




    + ) 건조기 갯수는 2개 각각 설치하던 1개설치하던 상관없는것 맞나요?

     

     

     

     

     

     

     

     

     

     

     

     

     

     

     

  • 강희중 |(2025.03.20 11:42)

    네, 안녕하세요.

    해당 체크밸브는 한영동 교수님께서 당시 문제를 복원할 때 고안하여 그리신 체크밸브로 다이오드의 흐름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당시 가스체크밸브의 형상으로 체크밸브를 표시한 듯 하며

    타사에서 도용하면서 자의적으로 반대로 해석한 것 같습니다.

     

    저도 영상 촬영 시 무의식적으로 삼각형 방향으로  설명하여 재촬영하였지만 한솔에서는 가스체크밸브의 형상으로 해당 방향으로의 체크밸브 유체흐름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해당 문의사항으로 최근 기출은 원 도시기호인 Z 의 체크밸브나 가스체크밸브 형태로 복원하고 있습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