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액순환식 증발기 경우 일반적으로 유분리기는 설치 하지만
1. 액순환식 증발기의 특성상 액냉매를 반복해서 증발(?)시키기 때문에 액분리기는 필요성이 떨어지나요?
네, 구조상 보면 저압수액기에서 발생한 냉매 증기만 압축기로 흡입되는 구조이다 보니 별도로 압축기 입구측에서 액분리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떄문에 저압수액기가 액분리기 역할도 같이 한다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저압식 수액기와 액펌프는 일반적으로 세트이며, 액펌프와 순환펌프는 엄밀히 구분해야 하나요?
저압식 수액기와 액펌프는 액순환식 증발기에서 세트이며 펌프가 없는 일반 만액식 증발기도 있습니다.
액펌프가 순환펌프이며 액순환펌프로도 불립니다.
특히 만액식에서는 고압수액기와 저압수액기를 구분하여 명시하지 않고 수액기로만 부르면 장치 구분에 혼동이 발생하므로
여기서는 저압수액기로 말해야 합니다.
3. 증발기를 2대 사용하는 것은 단지 하나의 냉동장치로 온도가 다른 냉장 또는 냉동고를 사용하기 위함 입니다.
4. 네 무방합니다.
5. 압축기 고압축 토출측은 점선으로 반영하려다가 문제에서 이미 실선으로 나왔는데 답에서 점선으로 변경되는 것이 더 이상하여 그대로 두었고 질문 시 이유를 설명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