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이 문제는 굴곡부의 조건에 주의해야 합니다.
길이만 보면 b-c-d와 b-e-i 각 구간이 4미터로 동일하기 때문에
분기 또는 굴곡부의 조건을 따져야 하는데
굴곡부의 저항 조건과 b-e-h는 분기시 굴곡부로 간주한다 이기 때문에
b-c-d는 b의 분기 시 1개소와 c-d 1개소 두 개소가 되고
b-e-i는 b,e는 직진흐름이고 h만 분기로 해석하면 1개소 이기 때문에
b-c-d의 저항이 가장 큽니다.
참고)
분기관의 경우 직진덕트의 손실과 분기손실이 달라 별도의 계산으로 되지만 이 문제처럼 약식으로 계산되고 또한 문제에서 조건을 '분기 시' 이었지만 분기관의 직진 또는 분기에 대한 별도 조건이 있으면 그 조건을 따라주셔야 합니다.
위에 서술과 같이 직진관과 분기관의 저항이 달라 조건을 구분해야 하는데 일부 구분하지 않고 나왔다는 분도 계시기 때문에 해석에 따라 다른 해석이 나오기도 합니다.
한솔에서는 분기 시 만으로 해석한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