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47페이지
(3) h4'는 따로 계산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은 주어지는 값입니다. 다만 이문제에서는
본문 21페이지에 설명된 바와 같이
최후 발생하는 냉매증기 엔탈피 h4'는 냉매증기의 평균엔탈피(응축기로 들어가는 엔탈피)h3'와 거의 같은 값을 같기 때문에 h4'≒h3' 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는 평균엔탈피인 h3'의 엔탈피 값을 갖지만 장치상 해설에서 나가는 엔탈피 표현을 h4'를 사용하다 보니 이런 혼동스런 상황이 발생합니다.
결론 식의 표현은 장치의 표현이다 보니 h4'이지만 h4'≒h3' 라서 h3'값을 h4'에 대입하면 되고
만약 h4', h3' 둘다 조건의 엔탈피를 주어졌다면(확률 낮음) 4'와5' 사이 3' 값이 평균으로 실제 응축기로 공급되는 증기 엔탈피이기 때문에 h3'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2. 149페이지 h1' 즉, 증발기의 출구 엔탈피 값은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조건으로 주어진 값이며
이 값은 듀링선도를 통해 여러 조건의 사이클에서 출구의 엔탈피 값을 찾게 되는데
마치 냉동사이클의 p-h선도에서 증발기 출구 엔탈피를 찾는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험에서는 조건으로 주어지는데 만약 듀링 선도에서 찾아야 한다면 세로측 1'값을 읽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