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팽창탱크와 배관방식은 전혀다른 문제입니다.
팽창탱크(수조)는 관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체적팽창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2. 팽창탱크와 팽창수조는 같은 장치이며 개방식일 경우 보일러가 아니라 사용하는 방열기보다 1m 높게 설치하여 항상 관수의 흐름이 팽창탱크 아래에서 형성되게 합니다.
위 조사 자료에서는 팽창탱크를 밀폐식 팽창탱크로 한정하여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개방식 팽창탱크와 밀폐식 팽창탱크로 분류하며 개방식은 수조 형태로 사용하다 보니 혼돈이 발생한 거 같습니다.
3. 개방식일 경우 팽창탱크보다 높은 사용처나 배관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습니다. 중력의 영향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팽창탱크(수조) 아래에 모든 사용설비나 배관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다 보니 개방식일 경우 아파트 최고층의 사용처 보다 높은 옥상층에 설치가 됩니다.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임의로 압력을 감당하면서 공급될 수 있는 방식이 밀폐식 팽창탱크입니다.
리버스 리턴 배관의 단점은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각 공급처에 유량을 일정하게 공급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비용을 더 증가하지만 리버스 리턴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잘 정리 되었지만 리버스 리턴방식은 아주 소규모 외의 난방방식에 대부분 사용되며 이때 팽창탱크를 밀폐식로 할지 개방식으로 할지는 밀폐식과 개방식의 장단점에 따라 선택되게 됩니다.
개방식의 경우 10층의 빌딩에 옥상층에 설치되야 하는 불편함
밀폐식은 지하 보일러 옆에 설치 할 수 있지만 별도 밀폐식 팽창탱크 구매 및 공기압축기 구비 외 제어시스템 구비 등 시스템이 복잡해 집니다.
단순히 문제 해석을 떠나 설계적으로 깊게 공부하는 열정이 보기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