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2015-2 / 1번 / 흡수식 냉동장치와 흡수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장*추 등록일 2025.03.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0.  문제 및 해설

     

    단순히 틀린설명에 대해 X표시가 아니라 문장을 수정하라고 복원된 경우가 있어서요.

     

    LiBr은 아무리 봐도 브롬화 리튬인데 취화리튬은 오타인것 같습니다.

     

     

     

     

    1. 아래와 같이 정리해도 될까요?

     

    관례상  "암모니아 - 물"이  "물-리튬브로마이드" 보다 먼저나오고

    아래와 같은 이유가 맞나요?

     

  • 강희중 |(2025.03.03 00:26)

    0. 브로민은 취소라고도 불렀습니다. 

    따라서 브로민화 리튬(브롬화리튬, 리튬브로마이드)이나 취소화 리튬(취하 리튬)이나 같은 말입니다.

     여기서 취소는 브로민 화합물이 악취를 풍기는 것에서 유래한듯 합니다.

     

     1. 위 아래 순위는 전혀 상관없다고 생각됩니다.

     흡수식에 사용되는 냉매와 흡수제는 A4지 한 페이지에  가득 채울 정도로 종류가 여러가지 입니다. 

      

    복원문제로 정확한 문제를 알 수 없고 또한  출제자의 의도를 알 수 없으나 현재 일반화된 흡수식냉동기의 냉매와 흡수제입니다.

     

    플루오르카본 냉매(프레온)가 개발되기 전 암모니아와 물을 이용한 냉동장치가 있었으나 -60도 이하 저온까지 가능한지는 사례를 찾아봐야 겠네요. 1900대 이후 프레온냉매가 나오면서 암모니아 물을 이용한 흡수식 냉동장치는 잘 이용되지 않는 거 같습니다.

     

    (2) 증기압이 낮아야 하는 이유는

     예로 휘발성 액체는 증기압이 높습니다, 그만큼 증발이 쉽게 발생한다는 거죠.

     하지만 흡수액은 액체상태로 흡수하여 액체상태에서 냉매증기만 증발해야 하기 때문에 증발이 쉽게 발생하면 안됩니다. 따라서 증기압이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용액의 농도변화에 증기압이 변화하면 흡수식 냉동장치를 제어하거나 설계하기가 까다롭게 됩니다.

     

    이 외에는 잘 정리된 거 같습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