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25년 교재 -124쪽 04번 문제에서 델타 t1 과 델타t2가 의미하는 것은?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박*희 등록일 2025.02.25 답변상태 답변완료
  • 25년 교재 -124쪽 04번 문제에서 델타 t1 과 델타t2가 의미하는 것은

    응축기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오? 

    델타 t1이 왜 40-25이고

    델타t2가 왜 40-29.94인지오???

     

    늘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강희중 |(2025.02.25 16:32)

    안녕하세요.

    냉각수로 냉각하는 응축기를 예를 들면

    응축기에서는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스가 고온에서 응축온도까지 내려가지만 냉각관에서는 응축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냉각관의 냉매측 온도는 응축온도로 가정하며

     

    냉각수는 낮은 온도로 응축기로 들어가서 응축열을 제거하고 열을 받아 높은 온도가 되어 출구로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냉각수가 흐르는 관의 냉각수측 온도는 입구에서 출구까지 변화가 되기 때문에 각 구간을 미세하게 분할하여 계산하는 법이 LMTD(대수평균온도차)가 되고

     

    냉각수의 입출구 평균온도로 냉매측의 응축온도와 열교환 한다고 가정하여 평균을 내는 산술평균온도차(해당문제) 계산하는 법이 있습니다.

     

    평균온도차는 두가지로 계산 할 수 있으며 첨부하는 이미지 파일을 보시면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산술평균에서는 응축온도는 일정하고 냉각수온도는 변화하여

    처음과 나중의 온도차의 평균온도차 또는

    응축온도와 냉각수의 평균온도와의 차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 둘의 온도차는 계산해 보시면 같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델타T1이 응축온도와 입구공기 온도차이며

    델타T2는 일정한 응축온도와 출구공기와의 온도차로 각 구간을 쪼개어 계산하는 것이 아닌 중간정도의 온도(식에서 구한 산술평균 온도차)로 전체 응축기 전열면에서 열교환한다 가정한 것이 됩니다.

     

    공랭식 응축기보다는 수랭식 응축기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수랭식을 예로 들었습니다. 

    열공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