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선 한솔에서는 응축기의 압력이 낮아지는 이유에 대해 포괄적인 문제로 복원하였습니다.
이 현상은 외기 온도가 낮을 때 주로 발생하는 현상이기에 겨울철이라는 조건이 있었을 수도 있다고 보네요. 아니면 저자가 임의로 해석하여 넣은 조건으로 볼수도 있구요.
하지만 (아래출처문제) (2) 문제는 전 후 흐름으로 봤을 때 히트펌프의 겨울철 외부에 설치 된 증발기에서의 압력저하 문제로 어울리지는 않지만 알아두시면 좋을 듯 싶네요.
히트펌프는 겨울철 외기 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되고 기온이 낮아져서 증발기의 공급열량이 줄어들게 되면 냉매의 증발량이 줄어들게 되고
그러면 증발기의 증발압력이 낮아지면서 압축비가 상승하게 됩니다.
그러면 장치에 좋지 않은 현상(압축비 상승으로 인한 동력상승, 과열, 냉동능력저하 등등)이 이어지기 때문에 일정 증발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은
1차 필기부터 학습해왔던 내용입니다. 여기서는 히트펌프의 조건으로 조치방법까지 물어보는 난이도 있는 실무 문제입니다.
아무튼 한솔문제와 다른 문제이므로 별도로 학습해두시면 됩니다.
참고로) 냉동창고 같은 경우는 겨울철에도 운전을 하는데 낮은 외기나 수온으로 인한 과도한 응축현상으로 응축압력 저하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치를 하게 됩니다.
특히 증발식 응축기 같은 경우 겨울철 공랭식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같은 현상에 대한 조치는 중요한 주의사항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한솔에서는 응축기의 압력저하로만 풀이하였고 히트펌프의 증발기로 확대 해석하지 않았습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