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강의 잘 듣고 계시다니 감사합니다.
우선 첫번째
과열도가 높으면 왜 부하가 증가하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구체적인 설명 가능하실까요?
우선 과열도는 두 가지로 발생합니다.
1) 팽창밸브에서 냉매 공급이 일정할 때 부하가 증가하면 증발기에 출구에 다다르기 전에 증발이 종료되어 이후 건포화증기는 증발기를 흐르면서 온도가 상승합니다.
여기서 과열도 커진 이유는 외부 조건(외기 온도상승, 실내 부하발생 등)인 부하가 증가하여 과열도가 커지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과열도를 보고 온도식자동팽창밸브에서는 냉매량을 부하에 맞게(과열도가 일정하게) 증가시키는 원리 입니다.
따라서 질문처럼 과열도가 높으면 그이유로 부하가 증가하는 것이 아닌 부하가 증가하여 과열도가 높아진 것입니다.
2) 이럴때도 과열도가 커질 수 있습니다.
부하는 일정하지만 어떤 원인에 의해 냉매량이 줄어들었을 경우 입니다. 증발기에서는 부하량에 따라 일정량을 증발시킬 수 있게 설계되는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량이 줄어들 경우 1번 상황과 같이 증발이 일찍 끝나게 되어 냉매가 과열되게 됩니다.
두번째
냉각부하가 감소하면 팽창밸브에서 들어오는 액체 냉매의 증발량이 줄어 액이 넘어 갈 수 있어서 그런건가요?
네 맞습니다.
냉매공급량은 일정한데 부하가 감소하면(외기온도 감소, 적상에 의한 열전달 감소 등), 이때는 냉매액이 증발기에서 다 증발하지 못하고 압축기로 액이 흡입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