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문제와 해답

측정치의 양정이 낮다면 양정을 높이면 된다.

이건 성능곡선(?)에 따르면 토출측 밸브의 개도율을 낮출 수록
유량이 줄고 양정은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이 되면 서징현상이 일어난다는 점을 통해
이해가 가능한 반면

덕트의 단면적이 줄어들면 공기의 유속은 증가한다.
따라서 펌프의 토출 밸브의 개도율을 낮추면
액체가 통과하는 통로가 좁아져 단면적이 줄어든것처럼 되어
유속이 증가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챗 GPT에 물어보니 유속이 감소한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1. 펌프의 토출측 밸브의 개도율을 낮추면 유속이 감소한다.

일시적으로 국부적으로는 유속이 증가할 수 있지만 전체 시스템 상에서는
유속이 감소한다는 답변을 받았는데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2. 액체라서 유속이 감소한다? 공기는 유속이 증가한다?
공조냉동기사를 공부하는 오픈 카톡방에도 문의를 해봤습니다.
( 여담이지만 대부분 이패스 강의를 추천할때 저는 한솔 추천을 하고는 합니다.)

이 분이 답변을 달아준것을 정확히 이해는 못했으나
= > 공기통로인 덕트와 액체 통로인 배관은 유속과 압력의
상관관계가 반대로 움직인다(?)
이정도로 이해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있다면 액체는 비압축성이고 공기는 압축성이라는 차이 때문이겠지요?
" 배관의 단면적이 줄어드면 유속이 감소하고
덕트의 단면적이 줄어들면 유속이 증가한다. "
이런 의미는 아닌것 같습니다.
3. 펌프의 밸브의 개도율과 송풍기의 댐퍼의 개도율은 낮을수록 유속은 감소한다?
공기와 액체를 이송하는 것의 차이에 따른 대응 관계를 보면
이렇게 이해한게 맞을까요?
송풍기 - 펌프
배관 - 덕트
밸브 - 댐퍼
이렇게 비교한다면
배관의 단면적 감소 -> 유속 증가
덕트의 단면적 감소 -> 유속 증가
펌프 토출측 밸브의 개도율 감소
-> 유속감소 (국지적 일시적으로는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
송풍기 토출측 댐퍼의 개도율 감소
-> 유속감소 (국지적 일시적으로는 유속이 증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