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제가 유튜브를 보고 정압재취득법을 이해하고 정리하였는데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의 문제와는 좀 다른 부분이 있는 것 같더라고요.
정리한 부분을 올리고 실기 문제에서 궁금한 사항을 문의드리고자 합니다.
출처 : [덕트설비] 처음엔 항상 헷갈리는 정압, 동압, 전압에 대하여 알아보시죠^^ (youtube.com)
[ 1. 정압 재취득법 개념 ]

전압은 정압과 동압의 합. 동압을 낮추면 정압이 상승한다. ( 동압과 정압은 반비례 ? )
동압을 저하시키는 방법은 속도를 낮추는 것이다.
동압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이때 속도를 낮추는 방법은 연속방정식에 따라 면적을 크게한다.
[ 2. 면적 변화에 따른 마찰손실의 변화 ]

1-2 번 구간의 마찰손실 : 관로가 좁아 속도가 빨라서 마찰손실이 가파르게 손실된다.
2-3 번 구간의 마찰손실 : 급격한 확대관으로 마찰손실이 1-2 구간보다 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급격한 마찰손실을 가진다.
3-4 번 구간의 마찰손실 : 속도가 느린구간이라 완만하게 마찰손실이 발생한다.
정압재취득법은 따라서 실무에서는 고속덕트에서 동압이 커야 적용되는 방식이다.
(정압 재취득분이 커지므로...)
[ 3. 면적에 따른 마찰손실, 동압, 정압의 변화 ]

초록색 빗금친 부분 : 마찰손실
빨간색 빗금친 부분 : 동압
파란색 빗금친 부분 : 정압
[ 4. 공식유도 ]


여기서 실기 문제에서는
정압재취득 구하는 공식을 대입할때 마찰손실이 없는것으로 가정하는 건가요?
[ 5. 실기문제 ]

(1) 공식에서 마찰손실분이 없는점
(2) 면적이 좁은곳에서 넓어지는 것이아니라 반대로 면적이 좁아지는 점
이 두가지가 앞서정리한 부분이랑 비교했을 때 이해가 잘 안되네요.

취출구와 분기점과 관련되서 적용하는 정압재취득법이 따로 있거나 용도별로 개념이 바뀌는 건가요?
아니면 취출구와 분기점에서는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면적이 넓은곳에서 좁은곳으로 변화해도
똑같은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