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419p 도달거리와 강하거리 개념 문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장*추 등록일 2024.08.02 답변상태 답변완료
  •  

    0. 문제와 해답

     

     

    교재와 강의내용을 기반으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1. 도달거리

     

     

    파란선 = 기류범위 

     

    빨간선 = 토출기류의 중심선 ( 기류중심선과 같은 말로 볼 수 있는지? )

     

     

     

    2. 강하거리 (냉방시 우하향하는 것을 가정하고)

     

     

     

    초록색 = 취출구 중심(중심선?)

     

    빨간색 = 기류중심선( = 토출기류의 중심선?)

     

    보라색 = 강하거리 (=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3.  

     

     

    취출공기 온도가 실내공기보다 낮을 때 (냉방) -> 기류가 강하  => 강하거리

     

    취출공기 온도가 실내공기보다 높을 때 (난방) -> 기류가 상승  => 상승거리   

     

    그렇다면 책에서술된 

     

    "수평으로 취출된 공기가 어느 거리만큼 진행했을 때의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는

     

    강하거리  : "수평으로 취출된 공기가 어느 거리만큼 진행했을 때의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또는

     

    상승거리 :  "수평으로 취출된 공기가 어느 거리만큼 진행했을 때의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이렇게 표현해도 같은말 아닌가요? 

     

    다시말해서 책에서술된 내용에서는

     

    난방이라 기류가 상승한다는 표현을 덧붙이면 상승거리가되고, 

     

    냉방이라 기류가 하강한다는 표현을 덧붙이면 강하거리가 되는 것이아닌지... 

     

    문제에서 냉방, 난방 조건이나 취출구(토출구)의 온도와 실내온도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에 

     

    교재에 수록된 내용에 추가로 기류가 강하되는 상황에 대해 서술해야 되는건 아닌지 문의드립니다. 

     

  • 강희중 |(2024.08.02 10:53)

    1. 도달거리는 수직(천장 취출구), 수평(벽 취출구) 기류에서 기류속도가 0.25 m/s에 도달할 때까지 거리입니다.

     1번 질문에서 수평으로 공기를 취출 시 빨간선은 취출구의 중심선이며

      기류는 강하하기 때문에 기류의 중심선과 같은 말이 아닙니다.

     

     강하거리에 설명 되듯이 취출구상의 중심선과 취출기류의 중심선의 차이가(강하된 거리) 강하거리 입니다.

     하지만 천장형 취출구는 취출구 중심선이 취출기류의 중심선이 됩니다.

     두 경우를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2.  네 맞습니다. 1번 질문에서와 같이 취출구 중심선에서 0.25m/s의 지점에서 기류 중심이 얼마나 내려 왔는지가 강하거리입니다.

     

    참고) 도달거리와 강하거리는 취출구 설계 시 거주역(사람의 호흡선, 바닥으로 1.5m 정도)에 0.25m/s 기류가 도달할 수 있게 설계하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할 요소들입니다. 

     

    3. 측벽에 설치하여 난방시 기류가 상승하여 강하거리의 반대로 기류 취출구 중심선에서 상승한 높이를      '상승거리'라고 합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