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문제와 해답

교재와 강의내용을 기반으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1. 도달거리

파란선 = 기류범위
빨간선 = 토출기류의 중심선 ( 기류중심선과 같은 말로 볼 수 있는지? )
2. 강하거리 (냉방시 우하향하는 것을 가정하고)

초록색 = 취출구 중심(중심선?)
빨간색 = 기류중심선( = 토출기류의 중심선?)
보라색 = 강하거리 (=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3.
취출공기 온도가 실내공기보다 낮을 때 (냉방) -> 기류가 강하 => 강하거리
취출공기 온도가 실내공기보다 높을 때 (난방) -> 기류가 상승 => 상승거리
그렇다면 책에서술된
"수평으로 취출된 공기가 어느 거리만큼 진행했을 때의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는
강하거리 : "수평으로 취출된 공기가 어느 거리만큼 진행했을 때의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또는
상승거리 : "수평으로 취출된 공기가 어느 거리만큼 진행했을 때의 기류중심선과 취출구 중심과의 거리"
이렇게 표현해도 같은말 아닌가요?
다시말해서 책에서술된 내용에서는
난방이라 기류가 상승한다는 표현을 덧붙이면 상승거리가되고,
냉방이라 기류가 하강한다는 표현을 덧붙이면 강하거리가 되는 것이아닌지...
문제에서 냉방, 난방 조건이나 취출구(토출구)의 온도와 실내온도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에
교재에 수록된 내용에 추가로 기류가 강하되는 상황에 대해 서술해야 되는건 아닌지 문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