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207,208p 공조부하계산시 구조체정의 문의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장*추 등록일 2024.07.11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여기서 구조체의 총 종류로는 외벽, 유리창, 내벽, 상층, 하층 맞나요?

     

    2. 내벽, 상층, 하층이 구조체 계산에서 빠진 이유로는

     

    "인접실(공조), (상층, 하층도 동일조건의 공조 공간임)"

    이라는 조건이 붙어서 그런거 맞나요?

     

    해당문제의 이전 질의응답 답변:

    https://engineer.inup.co.kr/post/read.jsp?id=99423&layout=&s_module=

     

     

    + ) 문제풀이시 열관류율 조건이 제시된 구조체 중 "공조하다"는 표현가진것을 빼고

    계산하면 되겠지요?

    (상층, 하층을 계산하는 문제는 실제로 출제가 안되지 않나요?)

     

     

    3. 인접실에 공조하다의 의미

     

    잘이해가 안되서 chat gpt에 물어봤는데 이런식으로 이해하면될까요?

     

     

     

     

     

     

     

     

  • 강희중 |(2024.07.11 15:37)

    1. 네 구조체에는 외벽, 유리창, 내벽(문 포함), 상층, 하층입니다.

    2. 동일조건의 공조라면 실내온습도 조건이 같다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동일 온도의 실은 서로 열이동이 없는 것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부하계산하지 않습니다.

     또는 같은 온도조건이다 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이 때도 계산하지 않습니다. 출제자의 의도가 부하계산 할 필요가 없다는 조건으로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인접실의 온도를 부하계산하는 실의 온도와 같은 온도로 주어지면 부하계산하여 온도차는 0이므로 부하도 0이 나오도록 답을 해야 하는 문제도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 문제와 조건을 파악한 후 같은 공조(온습도)조건이란 부분은 빼고 계산하면 됩니다.

     상하층부하계산은

     간혹 상층이 지붕으로 주어지면서 계산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층은 공조층 또는 땅에 접하거나 지하층이라서 계산법이 약간 다른 부분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종합 부하계산 문제에는 자주 출제되지 않습니다. 개별로 지중에 접한 바닥 부하계산은 나온적이 있습니다

     

    3. 인접실이 공조하다의 의미는 GPT에서 잘 설명하였습니다.

     정리하면 같은 조건의 온습도로 공조된다로 해석하면 됩니다.

첨부파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