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2025년 교재 281페이지 문제3번 문의합니다
질문유형 기타문의 > 기타사항
글쓴이 박*영 등록일 2025.10.1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2025년 공조냉동실기 한번에끝내기 교재 문제3번의 소문제 (2)번 외기부하 qo를 구하는 문제

    에서 qo = Go (h1 - h2)로 하셨는데 h2점은 예열전 외기2로서 실내환기1과 혼합되는 공기는

    예열기를 통과한 외기3이기 때문에 qo는 Go (h1 - h3)이 맞지 않나요

    공식을 대입해서 검증해보더라도

    Go (h1 - h3) = G (h1 - h4) = 33600kJ/kg 이되지만

    Go (h1 - h2) = 49760kJ/kg이 되어 등식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예열부하와 가열부하는 현열의 변화 이므로 엔탈피 차이가 아니라 건구온도 차이로 구했을때

    엔탈피 차이로 구한 값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교수님은 모두 엔탈피 차이로 답을 작성

    하셨는데 만일 시험에서 온도차이로 답을 작성하면 틀린 답이 되나요 ?

  • 강희중 |(2025.10.14 11:15)

    네, 안녕하세요.

    열심히 학습하고 계시는 군요.

    이런 함정 있는 문제들도 많이 풀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헷갈려 하시는 부분이 예열기와 전열교환기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오해를 하고 계신거 같습니다.

    여기서는 예열기도 에너지를 소비해서 가열해야 부분이므로 외기 부하는 외기가 실내 온습도까지 도달해야 하는 부하입니다.

    따라서 온도도 18도까지 상승해야 하지만 습도도 실내습도까지 가습해야 하는 부분이므로 엔탈피로 구해야 합니다.

    그래서 2점 외기부터 실내점까지의 외기량에 엔탈피차를 구해 계산하게 됩니다.

     

    그럼 실내공기온도가 혼합온도가 되는 것이 왜 외기부하가 아닌가 하는것은..

    Go (h1 - h3) = G (h1 - h4) = 33600kJ/kg의 계산은 예열 후 혼합에 대한 열평형식이므로 식은 성립하지만 외기 부하에서 예열부하가 빠진 상태로 계산식이 성립된 것입니다.

     

    결론 예열기나 예냉기가 있을 경우

    외기량이 실내온도까지 냉각제습, 가열가습 해야 하는 부분은 외기부하가 맞으나

    실온이 혼합되어 혼합점까지 가는 엔탈피량은 예열이나 예냉이 빠진 상태이므로 외기부하가 아니다.

     

    열공하시기 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