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1) 취출구의 마찰저항은 자주 올라오는 질문입니다.
왠지 모든 취출구의 저항을 더해야 할 것 같지만
송풍기의 동력(kW)은 풍량(Q)×전압(Pt) 으로 전체 풍량을 밀어내는 힘(압력)은 가장 마찰손실저항이 큰 경로의 취출구 취출손실을 이겨내고 토출되면 되므로
중간 분기되어 가는 모든 덕트나 모든 취출구의 저항합이 아닌
손실이 가장 큰 경로에서 흐름에 방해되는 손실만을 계산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계산은 가장 큰 손실의 취출구 까지 직관 덕트 손실과 직관 덕트 경로 중에 있는 굴곡부나 분기부 그리고 각종 기기와 취출구 손실의 합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참고) 그 이전의 덕트경로를 통해 취출되는 취출구는 더 높은 압력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2) P409와 P418은 같은 이중덕트 시스템이지만 문제에서 P409의 08번 문제는 전체 풍량에서 ⑥실의 현열부하에 해당하는 풍량만이 분기되어 가는 문제고
P418 01번 문제는 공조기 전체 풍량과 실내로 가는 풍량이 같은 문제입니다.
실제 이중덕트 계산은 상당히 복잡하며 실기 문제로 나오는 상황은 이중덕트의 개념 이해를 파악하기 위한 문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P418 01번 문제의 작도와 계통도는 정오표로 수정된 그림이 제공 되고 있으니 참고 바라며
P409의 08번 문제의 선도는 P418 01번 문제와 숫자만 다르고 프로세스는 같으며
선도에 작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