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전열교환기를 중심으로 <외기->급기> 와 <환기->배기>
2기체가 열교환합니다..
이때 여름철 기준 효율 = <외기->급기> / <외기->환기> 입니다.
온도로 예를 들어 외기온도 32도, 전열교환 후 급기 온도 29도, 실내 환기온도 26도라면 효율=(32-29)/(32-26)
겨울철은 반대로 효율=<급기->외기> / <환기->외기>
온도로 예를 들어 외기온도 0도, 전열교환 후 급기 온도 10도, 실내 환기온도 20도라면 효율=(10-0)/(20-0)
즉 <실내환기와 외기사이의 온도차>가 이용가능한 온도차이고
이때 실제 변화한 온도는 <외기와 급기>온도차입니다..
해당 교재식은 겨울 기준이라서 헷갈리셨을겁니다.
교재 온도효율과 엔탈피 효율이 맞고요..
식에 없는 hE2 ,tE2를 설명한 이유는 식에는 없지만 전열교환기를
이해할때는 알아두는게 좋기 때문에 설명한 겁니다..
즐공하세요...
(추가설명)
26년 개정판은 다음과 같이 수정하려 하니 참고하세요.
우선 전열교환기 효율은 냉방 시와 난방 시 개념은 같지만 온도의 방향이 반대 되어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 확실히 설명하고 그림을 첨부하여 첨자에 대한 이해를 쉽도록 할 계획입니다.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