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덕트 풍량, 풍속, 지름 계산 문제 문의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필기+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신*선 등록일 2025.06.1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지난주 부터 실기 시험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덕트 풍량,풍속,지름을 구하는 기출 문제를 보면 풍량 Q와 마찰손실 R 선도가 주어지고

    주어진 각 취출구의 풍량 합산 값과 마찰손실 R 값이 만나는 지점에서 풍속과 지름을 찾게

    되어있는데요 궁금한게 답안을 보면 어떤 구간에서는 답안이 지름이 63.5cm,

    풍속 7.9m/s로 소수점까지 적혀있는데 풍량과 마찰손실값이 만나는 지점에서

    눈대중으로 어떻게 소수점까지 찾을 수 가 있는 건가요?

    선도 상에서는 가령 지름을 90cm과 91cm 중 어느쪽에 더 가까운지 확실하지 않고

    풍속도 10m/s과 11m/s 중 어느쪽에 가까운지 명확하지 않은데 어떻게 소수점 답안을

    적는 것인지 궁금하며 혹여 출제자가 원하는 지름값이 91cm인데 선도상에서 89cm나

    93cm로 판단하고 살짝 벗어나게 적으면 틀린 값이 되는 건가요? 

    만약 풍속과 지름 중 어느하나를 명확히 안다면 Q=AV 공식에서 다른 값은 계산 식으로 

    정확한 값을 적을 수가 있겠지만 선도 상에서는 두 값 모두 명확히 찾을 수 없는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 강희중 |(2025.06.13 14:07)

    네, 안녕하세요.

    선도상 정확한 값을 찾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다만 두번째 질문부터 답을 하면 채점기준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어느 정도 범위까지의 오차는 정답으로 인정을 해줍니다. 이 부분은 약간 주관적인 채점 기준이라 '몇 %' 라고 정확학게 말씀드릴 순 없지만 오차범위에서 찾아주시면 되기 때문에 눈대중 정도로 답을 빠르게 찾아 학습 합니다.

    그래도 어느 정도 근사치에 맞아야 하기 때문에 아래 방법으로 찾으면 됩니다.

     

     

    우선 선도의 범위는 두가지 유형이 있어 이 부분을 주의해야 합니다.

    1) 모든 간격과 값이 같은 경우( p-h선도의 엔탈피, 습공기 선도의 온도, 습도, 엔탈피) 또는 큰 차이가 없는 경우(덕트 경, 관경 등)

    근사치 값을 찾는 방법은 90과 91cm 선 사이에 해당 답을 찾아야 한다면 자를 이용한 측정 보간법입니다.

     

    예를 들어 90과 91선 사이 길이가 5mm이고 해당 값이 90에서 3mm 정도 떨어졌다면 90+1cm×(3/5)=90.6cm 이런 식이 됩니다. 근데 90과 91선 사이가 자로 재기 어려울 만큼 좁다면 오차 범위가 있기 때문에 눈대중으로 찾으셔도 무방하며 큰 수를 선택해도 상관없습니다.

    각 구간의 값을 정확히 찾는 기능시험이라면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야 하지만 어느정도 근사치 값을 요구하기에 1mm단위 자로 해당 위구간의 값 아래 한 단계 숫자까지 찾으면 됩니다.

     

     

     

     

     

    2) 각 구간이 대수함수(p-h 선도 압력)이거나 어느 비율을 갖고 작아지는 경우

    이 부분은 약간 어려운 부분입니다. 아래 그림 처럼 찾는 각 구간의 폭이 값이 커질 수록 작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35cm에서 40cm까지 5mm 이고 해당 찾는 값까지 약 3.3mm 정도 된다면 폭이 같은 경우 38.3으로 대답해야 하지만

    폭이 다를 경우

    위의 큰 구간으로 가서 100에서 200까지 길이가 26mm이라면 26×3.3/5=17mm 이니까 100에서 17mm지점값을 확인하면 160이 됩니다. 즉 60% 값이기 때문에 35~40까지 구간중 60%에 해당하는 38을 선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위 예에서 오차범위가 있어 35-40의 60%가 넘는 위치에 있어 대략 38cm를 선택해도 되고 자의 길이가 3과 4 중간위치 정도 되니까 38.5라고 답을 해도 오차 범위로 인정할 가능성이 큽니다.

     

     

     

     

    3) 덕트선도의 풍량값이나 p-h 선도의 압력은 대수함수를 쓰고 있어서 위의 방법과 비슷하지만 아래 방법으로 찾게 됩니다.

    아래 그림 참조

    예를 들어 풍량 1000에서 2000 사이 어떤 값을 찾는다면(아래 그림은 눈금이 있지만 눈금이 없다면) 해당 값의 기준이 될 수 있는 1000에 10000까지 구간으로 찾게 되는데

    자로 측정하니 해당 찾는 값의 위치가 1000에서 2000까지의 70% 선상에 있다면 1000에서 10000까지 70%선상에 있는 값이 6000이기 때문에 60%에 해당 하는 1600정도 됨음 알 수 있습니다.

    보통은 풍량 1600의 선을 찾아야 하는데 방법은 역으로

    1000에서 10000까지 6000의 길이가 70% 정도이니 1000-2000 사이의 70% 값을 찾으면 됩니다.

     

     

     

     

     

     

    정확하게 작도하려면 이런 보간법을 이용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이 방법을 참고하여 눈대중으로 그 값을 오차범위내 정확히 빠르게 찾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교재의 값들도 모든 값들을 보간법으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간 오차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경우이기 때문에 너무 큰 오차가 아닌 이상 고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처음이라 학습하는 여러 답안들이 어렵고 낯설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 질문바랍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