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이네요.
질문은 받고 한참동안 고민해 보니 이 문제는 수정해야 하는 것이 맞는 거 같습니다.
용액의 농도 관점을 달리 표현하여 헷갈리게 한 문제 같아 보입니다.
관점에 따라 용액에 냉매(암모니아)농도로 표현할 수는 있으나 일반적인 농도표현이 아닙니다.
농도계산하면 답은 맞기에 그대로 복원하여 올리긴 했는데 문제 오류인 듯 싶습니다.
용액은 흡수제+냉매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계신것 처럼
흡수제를 기준으로
흡수기에서 증발한 냉매를 흡수하면 묽은용액(희용액 fω1)이 됩니다.
이 묽은 용액이 발생기에서 냉매를 증발시키고 나면 농용액(진한용액 fω2)이 됩니다.
여기서, 만약 냉매 증기를 1kg 순환시킨다고 가정하여 냉매 1kg을 흡수하고 발생시키는 농도가 되기 위한 전체 용액 f(kg)(순환비라고 함)는 다음과 같이 표현 됩니다.
fω1 = (f-1)ω2
전체 용액과 농도의 곱은 냉매증기 1kg을 발생시키고 난 후 남은 용액과 농도의 곱은 같다.
따라서 순환비 f =ω2/(ω2-ω1)
결론 : 해당 문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흡수식 냉동기에서 발생기로 들어가는 희용액 농도 58%, 발생증기의 암모니아 농도 84 %, 발생기에서 나오는 농용액의 농도 62%일 때 용액 순환비는 얼마인가?
참고) 용액 순환비는 2차 실기에서 흡수식 냉동기 문제에 출제가 되니 잘 암기하여 두시기 바랍니다.
농용액, 희용액 용어상으로 헷갈릴 수 있습니다.
암기 팁은 큰수/(큰수-작은수) 입니다.
여기서 발생증기 암모니아 농도는 상관 없으며 물도 일부 같이 암모니아와 순환하기 때문에 발생증기는 암모니아 100%가 아닙니다.
그리고 혹시 cbt 시험 시 상기 문제처럼 나오면 제보 부탁드리며 오류라고 생각되도 답은 큰수/(큰수-작은수)로 계산하여 구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