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안녕하세요.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두 가지로 계산할 수 있을 뿐입니다.
P=rh에서 압력(P) [Pa, N/m2]=비중량[N/m3]×높이[m] 이며
따라서 양정(높이) h=P/r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중량 r[N/m3]= ρg=밀도[kg/m3]×중력가속도[m/s2]=[kg m/s2 × 1/m3]=[N/m3]라서
(여기서 ρ(로우 : 밀도 기호), g(쥐, 그래비피 : 중력가속도 기호))
P=rh=ρgh 따라서 h=P/ρg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의 비중량이나 밀도 등 별다른 조건이 없다면 두식 중 어느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으나
조건에 비중량이 주어졌다면 비중량식으로
밀도와 중력가속도가 주어졌다면 비중량=밀도×중력가속도 식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참고로 물의 비중량 = 9800[N/m3]=9.8[KN/m3]
물의 밀도 = 1000[kg/m3]
중력가속도 = 약 9.8[m/s2] 이며
일반적으로 수(물)계통에서는 조건에 없으면 상기 값을 암기하여 사용해야 하며 조건에 있으면 조건값으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수계통임을 알고 있을 때는 m에 물 수식어 Aq(아쿠아)를 붙이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양정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압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계통에도 Aq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