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수강신청
  • 교수소개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고용보험환급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실기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종합반 > 강희중
글쓴이 조*영 등록일 2025.03.28 답변상태 답변완료
  • 94p 39번문제 3번문항에 압축일량을 물어보는 문제에 Ls로 구하는데 이거는 축동력이 아닌가요?

    압축일이니까 W를 구하는게 아닌지 여쭤봅니다

    강의 잘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강희중 |(2025.03.28 23:58)

    네,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네요.

    우선 압축일량은 주로 1kg당으로 사용하니까

    축동력(KW)을 구하시오 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이렇게 압축일량(KW)으로 묻는 다면

    효율 조건이 있고 kW 단위로 묻기 때문에 축동력으로 구해야 합니다.

     

    (추가 답변)

    네, 이론동력이나 지시동력이나 축동력은 같은 단위로 차원이 같습니다.

     

    그래서 압축효율과 기계효율을 적용하여도 축동력의 단위는 kW 입니다.

     

    여기서 구분을 한다면 일단 압축효율이나 기계효율을 주어지고 동력(kW)을 구하라고 하면 이는 축동력을 구하는 문제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실제 축동력은 여러조건을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효율조건 없이 동력을 구하는 것은 이론 동력이 됩니다.

     

    문제 중 효율이 있는데도 이론 동력을 구하는 문제면 이론과 축동력을 구분하여 문제를 출제하게 됩니다.

     

     

    부연설명)

    압축기는 압축시에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데 선도상으로 보면 증발온도의 증발압력으로 흡입하여 바로 등엔트로피 선을 따라 압축하는 것으로 간주 합니다. (이론 동력)

     하지만 실제는 흡입배관의 마찰, 흡입밸브의 마찰(흡입압력 강하), 누설, 윤활유의 영향, 실린더 과열 등 여러 원인으로 실제는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는 압축효율로 표현하여 토출가스 엔탈피의 상승을 표현합니다. 

    이런 압축을 하는 모터의 힘에서 축을 돌리는데 마찰 손실 외 여러 기계적인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를 반영한 것이 기계효율이 됩니다.

    따라서 압축효율 기계효율을 적용한 동력이 축동력이 됩니다.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하시면 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