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유량에는 체적 유량과 질량유량이 있습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따라 체적유량을 사용할 지 질량유량을 사용할 지 구분해야 하며 체적유량과 질량유량의 환산관계는 밀도나 비체적을 곱하거나 나누어 환산하게 됩니다.
1) 체적유량 Q=AV 에서 유량Q [m3 /s]=면적A[m2]×속도V[m/s]
2) 질량유량 G=ρAV=ρQ 따라서 G[kg/s]= 체적유량 Q[m3 /s]×밀도ρ[kg/m3]
또는 체적유량 Q[m3 /s]÷비체적v[m3/kg]
35번은 질량유량이라 밀도를 곱하여 계산하였고
40번은 체적유량으로 바로 계산이 된 부분입니다.
따라서 혼동 스러운 부분이 문제에서 체적유량으로 계산해야 하는지 질량유량으로 계산하는지 구분하지 못하면 엉뚱하게 문제를 풀어가게 됩니다.
문제를 풀면서 단위를 기록하며 학습하시면 두 문제를 구분하는데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