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기타문의] 308P의 3-(2)번 문제에서
이*희2021.03.30답변완료

전체 순환공기량 G를 구할때

전열을 사용하는 이유는 순환수분무가습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다음페이지 310P의 (2) 취출공기 온도 구하기 문제에서

는 전열이 아니라 현열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똑같은 가습이 들어가도 풀이가 다른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한영동2021.03.30 19:05

안녕하십니까? 이건희님

아래와 같이 송풍량을 구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3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실내부하를 현열부하, 잠열부하, 전열부하 가운에 어떤 부하를 주었느냐에 따라서 송풍량을 구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단, 실내 현열부하와 전열부하가 동시에 주어졌을 경우에는 현열부하 우선으로 구합니다.

실내 현열부하qs=비열x밀도x송풍량x온도차에서

송풍량(m³/s) =실내 현열부하qs/(공기의비열x밀도x 온도 차)

실내 전열부하qt = 밀도x송풍량x 엔탈피 차에서

송풍량(m³/s) =실내 전열부하qt/(밀도x 엔탈피 차)

실내 잠열부하qL=2501x밀도x송풍량x절대습도 차에서

송풍량(m³/s)=실내 잠열부하qL/(25012501x밀도x절대습도 차)

여기서 온도차, 엔탈피 차,절대습도차는 실내와 취출공기의 값의 차를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