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기타문의]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2018년 1회 12번 (272~273p)
권*환2020.07.18답변완료

안녕하세요.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2018년 1회 12번 문제(272~273p)에서

 

1) 조건에 "증발기로 들어가는 포화수 엔탈피(h1)"가 주어졌는데, 이는 증발기 냉동효과(qe) 계산에 필요없는 값인가요?

 

2) "응축기를 나오는 응축수 엔탈피(h3)"와 "증발기로 들어가는 포화수 엔탈피(h1)"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혹시 증발기로 들어가는 포화수가 냉수를 의미하나요?

 

3) 발생기 가열량 q3=(f-1)h4+h3'-fh7 아닌가요?

식 확인 부탁드립니다.

답변한영동2020.07.18 20:25

안녕하십니까?  권주환님

일반적으로는 응축기를 나온 냉매가 증발기로 들어가기 때문에 응축기 출구냉매엔탈피=증발기입구냉매엔탈피가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님을 포함한 다른 분들도 의문을 표시하여 저가 정밀하게 확인해보니 주어진 도면에서 응축기출구냉매가 증발기로 가는 도중에 유자관 트랩이 있고, 그 하단에 냉각수라인이 설치되어 냉각되고 있어서 증발기입구와의 엔탈피차가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풀이가 달라져야 합니다.

(3) 냉동효과 q2=h1'-h1=2926.9-438.3=2488.6

      1냉동톤당 냉매순환량=3.86x3600/2488.6=5.58입니다.

해설에서 발생기 가열량q3=(f-1)h4+h4'-fh7에서  h4' →h3'가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월요일에 정오표에 올리겠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