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에 있는 팽창탱크의 높이를 구하는 문제에서
풀이는 B-E까지의 저항으로 팽창탱크의 높이를 구한다고 하였는데
사이클의 전저항이 아닌 B-E구간만 해당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오정석님
그림과 같은 밀패배관에서 팽창탱크의 접속점 B를 no pressure change point라 하고 펌프의 운전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압력이 일정한 지점으로 팽창탱크로 부터 정수두가 작용하는 점입니다. 그 정수두에 의해서 이 배관계의 가장 압력이 낮은 지점인 E점까지 물을 수송할 수 있도록 팽창탱크의 높이가 되도록 설계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E점에서 액온에 상당하는 포화압력까지 압력이 저하되지 않아야 액체속에 용해되어 있는 기포가 분리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 다음 구간서부터는 다시 정수두가 높아지기 때문에(액체가 점점 아래로 내려가므로) 이후의 구간은 펌프의 접속점하고는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