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장을 통한 부하 구할때
온도차를 상층온도-실내온도로 했는데
실내온도-옥외온도로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추가적으로
중간과정에서 소수점 3자리까지 구해서 하는경우가 많은데
오차범위를 줄일려고 하는것 같아요.
세자리에서 반올림해서 구하면 안되는건가요?
최종답이 조금씩 달라져서 정확한 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네...
최상층일때는 외기온도로하는게 맞습니다.
다만, 이 문제에는 조건에서 상층(상부층)온도를 18도로 주어졌습니다.
+) 풀이 중 중간과정 답을 소수점 세자리에서 반올림하거나 버리면서 이후 단계를 계산하는 경우 최종 답 소수점 두자리에서 오차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요구 조건은 중간과정의 반올림 처리에 대한 규정은 없고 최종 답안에서 소수점 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자리까지 구하는 것이 기준이 됩니다. 이 답이 상이 할 경우 오답 또는 감점사항이 됩니다.
따라서
부하계산 문제에서 여러 벽체를 합한 전체 벽체부하를 구하라고 하면 각 벽체의 부하를 세자리까지 구하여 합한 후 반올림 해야하며
어떤 문제들은 문항을 단계로 나누어 풀수도 있고 한 번에 풀수도 있습니다.
교재는 풀이 과정을 설명하다 보니 한 번에 대입하여 계산하는 것보다는 중간 과정을 거쳐서 푸는 과정이 많습니다.
이 경우 세자리 또는 네자리 까지 사용하여 한 번에 계산한 답안(모범답안)과 소수점 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설명하고자 함이며
실제 시험 문제에서도 한 번에 풀지 않고 단계를 나누어 계산한다면 중간 과정의 답을 소수점 세자리까지 사용하여 최종 답안에서 모범 정답과 오차가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문제의 특성 상 네자리까지 구해야 되는 경우도 있으며
문제풀이 과정과 최종 답안의 단위가 다를 경우 (풀이과정 m와 요구답안 mm)에는 더 신경을 써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