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봐도 이해가 가지 않아 문의 드립니다. 밑줄 친 A와B실의 혼합온도를 구할때 동그라미 친 계산식인 유량을 급기기준으로 5000, 3000을 적용하여 계산하는게 맞지 않는지요?
이 문제의 경우엔 A,B실 흡배기 비율(약80%)이 거의 유사하여 냉각기 입구온도 28도는 같지만 풀이법이 잘못된거 같아 문의 드립니다. 제가 혹시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네,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입니다.
저도 급기량으로 해야 하는지 환기량으로 해야하는지 고민한 부분입니다.
여기서 두 가지 해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급기량을 환기량으로서 ④에서 혼합 후 1500이 배기로 가는 해석과
두번째는 급기량 중 1500은 각 실에서 배기되고 A실 4000과 B실 2500이 환기덕트에 유입되어 ④에서 혼합되는 경우입니다.
한솔 교재 복원은 조건에서 A, B실의 환기량을 주어진 부분이므로 두번째 각 실의 환기량으로 해석하여 혼합온도를 계산하였습니다.
만약 혼합 후 배기가 된다 하더라도 문제 조건의 요지는 환기량 주어진 경우이므로 환기의 비율로 혼합된다는 가정이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주의!) 각 실의 환기량이 주어지지 않는 조건이라면 김광연님 의견처럼 급기량을 환기량으로 보고 계산하여 혼합 후 1500이 배기되는 조건으로 계산 되야 하는 부분이므로 실제 문제에서는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