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문제에 주어진 조건에서 "DB" "RH" "DA" 의미가 무엇인가요?
김*재2025.05.07답변완료

교수님!

지난 4월에 대한기술교육원에서 공조냉동산기 실습으로 인사드렸던 김종재 수강생입니다.

산기시험은 잘 마무리되어서, 이제는 7월 19일 기사 실기 시험 응시 목표로 교수님

강의로 열공하고 있습니다. 문제 풀이는 일단 이해 위주로 잘 진행되고 있는데,

한가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예로) 문제 조건에 

 외기 : 32.5℃ DB, 60% RH, h = 81 kJ/kg (DA)

이렇게 나오곤 하는데...여기서 DB, RH, DA의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요?

제가 전공이 전기쪽이라서...기초없이 이해 위주로 강의를 듣다가 문제 조건에서

계속 요런 용어들이 나오니, 꼭 알고 넘어 가야 할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답변강희중2025.05.07 20:15

네 안녕하세요~

DB 건구온도

RA 상대습도

DA 건조공기

우선 이렇게

수업 후 저녁에 상세설명 올리겠습니다.

 

(추가 답변)

 네 반갑습니다. 여기서 이렇게 또 뵙네요^^

 전기 전공이시라 모든 용어들이 낯설기 때문에 학습하기 힘드실텐데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 질문 바랍니다.

그럼

습공기의 상태값에 대한 용어를 정리해서 올려드리니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습공기의 상태값

 

1) 건구온도 (Dry bulb temperature) : DB, t, ℃ 감지하는 감열부가 건조한 상태(일반 온도계)

 

2) 습구온도 (Wet bulb temperature) : WB, t’ ℃ 감열부가 젖은 상태에서 측정한 온도, 감열부가 젖은 상태로 물의 증발정도에 따라 건구온도보다 낮아지는 정도를 측정

상대습도 100%(포화상태)에서는 건구온도와 같음

 

3) 노점온도 (Dew point temperature) : DP, t”, ℃ 이슬이 맺히기 시작 할 때의 온도

절대습도 변화 없이(가습 감습 없이) 공기를 냉각시켰을 때 포화상태가 되는 온도

 

4) 절대습도 (Specific Humidity) : SH, x , kg/kg’, kg/kg(DA) 단위 질량의 습공기 속에 함유되어 있는 건공기 1kg'중 기체로 있는 수증기의 양(비습도 라고도 함)

 

※ DA는 Dry Air 즉, 수증기를 포함하지 않는 건공기를 의미하며

습공기중의 수분의 양이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단순히 습공기 1kg이라고 하면 모든 값이 수증기 양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습공기 선도에서는 엔탈피, 절대습도, 비체적 등 용량성 상태량은 건공기 1kg에 대한 해석으로 표현한다.

 

5) 수증기 분압 (Pv : mmHg) 수증기가 차지하는 부분 압력 Pv (Pw)

P(pressure), v(vapor 증기 또는 수증기), w(water, 수분)

 

6) 상대습도 (Relative(상대적인) humidity : RH, φ, % )

습공기의 수증기 분압 (Pv)과 포화공기의 수증기 분압 (Ps)과의 비, φ=Pv/Ps

Ps에서 s는 (Saturated air 또는 saturation air 포화된 공기 또는 포화공기)

 

7) 비체적 (부피, Specific Volume : υ, ㎥/kg’) 건조 공기 1kg’의 수증기까지 포함한 습공기의 체적

 

8) 엔탈피 (Enthalpy : i, h, kJ/kg(DA) ) 건조 공기 1kg’중에 수증기의 잠열까지 포함한 습공기가 갖는 에너지(열량, kJ/kg'), 여기서 0℃, 건조공기를 엔탈피 0 kJ/kg로 기준 한다.

 

9) 현열비, 감열비 (Sensible heat factor : SHF) =현열/전열=현열/(현열+잠열)

 

10) 열수분비 (Moisture ratio : u) kJ/kg, 가습량 1kg이 갖는 열량(즉, 가습 시 가습되는 수분 1kg이 가습되면서 습공기로 공급하는 열량)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