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냉동장치의 보수관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수냉, 응축기를 청소하면 냉각수 출입구의 온도차가 작아지고, 고압측 압력도 내려진다.
② 증발기를제상하면 압축기의 저압측 압력은 상승한다.
③ 암모니아 냉동장치에 혼입된 공기는 가스퍼지의 방 출관을 수조에 넣어 방출시킨다.
④ 암모니아 냉동장치의 유분리기에서 분리된 오일은 다시 사용하지 않고 폐유시킨다.
강의 에서 정답 1번이라고 하셨는데,,,
1번은 옳은것이고 옳지 않는것은 3번 아닌가요? 1번은 출입구 온도차가 작아지고 고압축압력은 내려가는 것이고,
4번은 암모니아는 물에 잘녹아 수조에 넣어 방출하면 환경문제가 발생 하므로 공기중으로 배출 내지는 외부로 방출해야 하는것 같습니다.
네,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입니다. 헷갈릴 수도 있는 부분이구요.
① 응축기 전열관을 청소하여 전열(열통과율)을 좋게하면 같은 냉각수가 흐를 때 전열이 잘되 응축열을 더 잘 전달 받아 출구온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입구 온도는 같게 공급된다면 출구온도가 상승하므로 입출구 온도차는 커지게 됩니다.
반대로 냉각관 오염으로 전열이 나빠진다면 냉각수가 흐르면서 열을 전달 받지 못하기 때문에 출구온도가 많이 상승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온도차가 작아지게 됩니다.
이런 경우 같은 응축열량을 제거하기 위해서 냉각수 순환량이 커져야 하기 때문에 펌프 소비동력이 많이 소비되어
냉각관 청소을 통해 온도차가 낮아지지 않게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열이 잘된다는 것은 응축이 잘된다는 것이고 응축이 잘되면 응축압은 다소 낮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응축이 안될 떄에는 압축기로부터 응축기로 공급되는 가스량 보다 응축되는 양이 적으지므로 응축기의 가스량이 많아지며 응축압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응축압력이 상승하면 이번에는 압축기 축동력이 상승하여 성적계수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응축관을 청소하지 않았을 경우 온도차가 작아지며 응축압력이 상승하므로 1번 답이 옳지 않은 설명이 됩니다.
물론 오답 문항으로 만들다 보니 청소하면 온도차가 작아지고 압력도 낮아진다로 하여 혼란스럽게 만든 부분입니다.
③ 플루오르카본 냉매는 독성이 없어 이상압력이 생기거나 수리시 대기중에 퍼지시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불응축가스 퍼저를 할 경우에도 그냥 배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참고 : 요즘은 온실가스이기 때문에 일정 냉동톤 이상이면 수리시 회수를 해야 하지만요)
하지만 암모니아는 독성, 자극성 및 폭발성이 있기 때문에 불응축가스 퍼지시 대기로 배출되지 않게 조치를 해야 합니다.
그런 방법으로 하나가 불응축가스 퍼저를 이용하여 퍼지시에 물을 담은 수조로 배출하게 하여 불응축가스와 함게 배출되는 암모니아를 물에 녹여 배출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물론 관련법에 따라 암모니아를 포함한 수조물을 처리해야 되겠죠.
냉동장치 외에도 암모니아를 이용하는 사업장의 암모니아 설비에는 살수설비를 설치하여 누출 시 물에 녹여 인근에 암모니아 가스가 퍼지지 않게 하는 제해(제독)설비가 있기도 합니다.
④ 암모니아는 비열비가 높아 토출가스 온도가 100도 이상이 됩니다. 그래서 윤활유의 탄화 방지를 위해 압축기를 수냉식으로 선택해야 하며 그럼에도 토출되는 암모니아가스에 섞인 윤활유가 탄화될 가능성이 크므로 회수하여 재사용하지 않고 폐유(배유)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