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브라인식과 직접팽창식?
강*화2025.04.29답변완료

2-78페이지 45)동일한 냉동실 온도조건으로 냉동설비를 할 경우브라 인식과 비교한 직접 팽창식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냉매의 증발온도가 낮다.

② 냉매 소비량(충전량)이 많다.

③ 소요동력이 적다.

④ 설비가 간단하다. 

여기에서 정답이 1번이라고 하고선 그냥 넘어 가셨는데,,, 2번이 정답 아닌간요? 1번이 답이면 이유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수고 하세요.

답변강희중2025.04.29 23:30

네 안녕하세요.

충분한 설명이 부족했었나 보네요.

직접팽창식과 간접팽창식 냉동장치는 수험생분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긴 하지만

알고보면 그렇게 어렵지도 않습니다.

그 이전에 냉동장치의 특성을 우선 알아야 두 장치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위 문제에서 냉동실 온도를 -18℃ 로 가정하고  -18℃ 만들기 위한 온도차는 직접팽창이든 간접팽창이든 10℃차로 한다면

1) 직접팽창식은 증발기를 냉동실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냉동실로 가는 배관은 액관이며  냉동실의 증발기는 많은 충전량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온도차를 10℃ 한다면 증발온도는 -28℃로 하면 됩니다. 

2) 간접팽창식은 압축기와 일체형인 만액식 증발기를 설치하여 브라인을 냉각시키므로 냉매 충전량은 적습니다.

하지만  온도차 10℃ 인 -28℃의 브라인을 만들기 위해서는 더 낮은 증발온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증발온도는 직접팽창식이 높기 때문에 1번이 옳지 않은 정답이 되며

충전량은 직접팽창식이 많으며

소요동력은 증발온도가 낮아지면 낮아질 수록 압축비가 커지므로 증발온도가 낮은 간접 팽창식(브라인)이 크게 됩니다.

그리고 간접팽창식은 별도의 브라인 냉각관과 순환펌프가 필요하여 설비가 복잡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번 모든 문제를 상세히 설명할 수 없어서 문제마다 간략히 설명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언제든 질문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그 이전에 앞선 내용에서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반복 청취하여 학습하여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