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부하와 가습량의 계산방법이 다른데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ㅇㄹㄹㄴ
네, 안녕하세요.
가습부하와 가습량은 구하는 단위(목적)가 다릅니다.
가습량은 실제 가습되는 수분의 량(kg/h)이고
가습부하는 이 가습량을 공급하기 위해 물을 증발시키는 가열 열량(kJ/s, kJ/h)입니다.
추가 설명하면
가습량은 외기 1kg이 실내로 들어오면 외기와 실내공기의 습도차이 만큼 습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다음식과 같이 낮아지는 만큼의 필요한 가습량을 구하게 됩니다.
가습량(kg/h)=외기량Go(kg/h) × (xi-xo) = Qo(m3/h)×ρ(kg/m3)×(xi-xo)
다음 이 가습량에 증발잠열을 곱하여 가습(물의 증발잠열 필요)을 하기 위해 필요한 가열량인 가습부하(kJ/s, kJ/h)를 계산합니다.
가습부하(kJ/s, kW)=가습량(kg/h)×증발잠열(0℃ 또는 상온의 증발잠열)/3600(s/h)
가습부하(J/s, W)=가습량(kg/h)×증발잠열(0℃ 또는 상온의 증발잠열)×1000(J/kJ)/3600(s/h)
가습부하(kJ/h)=가습량(kg/h)×증발잠열(0℃ 또는 상온의 증발잠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