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실기 책에서 기출문제 45p 9번 문제 중
(2)전덕트 저항손실 구하는 것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설을 보면 굴곡부(국부저항)은 c-d 라인만 구했는데요 b부분의 굴곡부는 왜 계산하지 않았는지 궁금합니다. a-d 라인으로 덕트 전저항을 구하는 이유는 길이는 똑같지만 굴곡부가 2개가 있기 때문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b점의 분기점 굴곡부도 구해야 하지 않나 해서 질문드립니다.
***비슷한 덕트 전저항 구하는 문제인 기출문제 35p 해답 (2) - 2)의 설명에서는 분기부의 국부손실을 구하는 것으로 해설이 되어있습니다.
+ 만약(45p 문제) b점의 분기점도 국부저항을 구해야 한다면 35p와 같이(분기점 바로 앞의 풍속으로 저항계산) b점 앞의(a-b) 덕트 지름으로 굴곡부 손실을 구하면 되나요?
국부저항을 구하지 않아야 한다면 왜인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네, 안녕하세요.
기출문제는 복원문제라서 완벽히 복원되지 않았다는 점을 우선 알고계셔야 합니다.
덕트의 국부저항계산은 여러가지로 계산되어지는데 시험에서도 여러 형태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첫 째, 굴곡부와 분기부를 저항계수로 계산하는 법
둘 째, 굴곡부를 상당길이로 환산하여 계산하는 법
45페이지 09번 문제는 조건에 굴곡부의 상당길이 조건이므로 분기부의 국부저항은 무시하고 밴드부인 굴곡부 만 저항손실로 풀이 하였습니다.
다만, 다른 기출문제에서는 분기부도 굴곡부로 한다라는 조건으로 복원을 한 문제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5페이지는 국부저항계수가 주어졌기 때문에 분기관과 밴드부 두 곳 다 적용하여 계산을 했습니다.
밴드부 국부저항은 저항계수나 상당길이로 계산을 합니다. 상당길이는 구체적인 계산법이나 표가 주어질 때도 있고
때로는 45페이지 처럼 지름의 몇 배로 주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조건대로 계산하면 됩니다.
분기부는 저항계수로 계산하게 되는데 주어진 저항계수표에 의해 계산하거나 별도 조건이 주어지면 조건대로 계산을 하게 됩니다.
정리
35페이지는 저항계수가 주어졌기 때문에 분기부 굴곡부 다 적용하여 계산
45페이지는 굴곡부의 상당길이를 덕트지름의 10배 조건으로 주어졌기 때문에 분기부는 무시하고 계산
분기시도 별도의 배수 조건이 있으면 따라 계산한다.
+ '분기시도 굴곡부로 한다' 라면 분기되는 b점의 덕트경을 적용한다.
부연설명)
실무에서 분기관의 직선관 방향은 저항이 작아 무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계수를 주어지게 되면 분기관 만 계산하되 별도 직선관의 조건이 있으면 따라서 계산한다.
이렇듯 계산법이 정석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문제의 조건을 잘 살펴 계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