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페이지 13번문제
216페이지 15번문제
유리
관류부하 구할때 온도차 반영 안된거와
온도차 반영 된거 차이가 뭔가요?
유리
관류부하와 전도부하는 다른 개념인거죠?
여기서는 유리의 관류부하와 전도부하는 같은 개념입니다.
배우기에는 관류는 열통과율이고 전도는 도체에서의 단위 길이당 열이동이지만
부하계산에서 유리벽을 통과하는 의미로 유리창을 사이에 둔 두 실내외 공기의 열이동으로 같은 개념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3번과 15번 문제의 차이점으로 정리하면
핵심은 단위 입니다.
13번은 단위 면적당 온도차를 적용한 관류율로 어떤 온도에서 면적당 이동한 열량 즉 W/m2 이고 이때는 온도차는 이미 이 관류(전도량)율 값에 포함 되었기 때문에 면적 만 곱하면 됩니다.
15번 문제는 단위면적당 1K의 온도차일 때의 열관류율(W/m2 K)이 됩니다. 따라서 15번은 면적과 온도차를 모두 곱해야 합니다.
이처럼 유리창에서 전도열량을 주어질때 단위를 확인하여 (W/m2 K) 일때는 열통과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13번 문제처럼 온도차를 적용한 전도열량(W/m2)을 주어질 수도 있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유리창의 전도율(W/m K)로 주어졌다면 이때는 내외표면 열전달율을 적용하여 유리창의 열통과율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 문제는 변칙 문제로 핵심은 단위라는 것을 잘 정리해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