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17-1 / 5번 / 팬코일 유닛의 공조방식 문의
장*추2025.03.01답변완료

 

0. 문제 및 해설

 

한솔의 경우 유인유닛 방식과 팬코일 유닛을 비교하는 문제에서 

 

팬코일 유닛이 수-공기 방식이라고 정의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팬코일 유닛 = 전수방식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개념적으로 혼동이 오는 것도 있지만

 

답안을 작성시  수-공기 방식 아니면 전수방식

 

둘중 하나로 양자택일하여 기재해야하는 것 같아서 문의드립니다.

 

 

1. 기본적으로는 전수방식이나 덕트병용시  수-공기 방식이라는 의견

 

 

 

2.  덕트를 병용(?)하더라도 전수방식 이라는 의견

 

 

 

 

3.  GPT의 경우 덕트 병용의 유무가 아니라 공조기가 추가(?)될 경우

 

수-공기 방식으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는데 신빙성이 있나요?

 

 

 

 

 

 

 + 수정 )  덕트병용 팬코일 유닛 방식이 따로 있기 때문에

 

문제에서 덕트병용 팬코일 유닛과 유인유닛을 비교하라고 명시해야 

 

팬코일 유닛을 수공기 방식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닌가요? 

 

 

출처 : https://youtu.be/v_Yejmke5I4?si=DkkkG7WawhUu81ap

 

 

 

 

 

 

 

 

 

답변강희중2025.03.02 15:33

팬코일 유닛 방식은 전수방식이 맞습니다.

복원 당시 한영동 교수님께서 유인유닛방식과의 차이점으로 복원하다보니

출제자의 의도가 팬코일유닛방식에서 덕트병용과 유인유닛 방식의 차이점이지 않았을까 유추하신 거 같습니다.

하지만 저도 너무 확대 해석 하신게 아닌가 하여 검토중에 있습니다.

 

문제로만 보면 순수 팬코일 방식과 유인유닛 방식으로 차이점을 구분하는 것이 맞을 수도 있습니다.

내부 검토 후 정오표를 통해 팬코일유니트(덕트병용)으로 문제를 수정하거나

위의 서술처럼 팬코일유닛방식과 유인유닛방식으로 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덕트병용의 의미는 팬코일 + 전공기방식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팬코일 + 전공기로 사용하지 않고 팬코일유닛(덕트병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참고로 팬코일의 경우 실내 유닛트만 있어 실내 환기의 문제점으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환기설비나 전공기 방식을 같이 설계되다 보니 일반화하여 해석하였을 수도 있습니다.

 

문제 제기 감사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