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문제 및 해설
1. 강의 및 책의 해설에서 막힘표시(?) 짝대기 두개를 사용하셨는데
이건 팬코일 유닛 한정으로 사용할수 있는건가요?
다른 역환수 배관도 문제에서는 못본거 같아서요.
이문제 한정으로 너무 실선이 복잡하게 보여서
일종의 현실에서 선정리 역할을 하는것처럼 보다 깔끔하게 그릴수 있는것 같네요.
밸브류는 아닐테고...
2. 아래와 같이 막힘 배관표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3. 제가 막힘배관 표시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그렸는데
이렇게 그려도 오류가 없을까요?
그릴때 빨간선(공급선)에서는 막힘배관표시를 끝이라고 생각했고
파란선(환수선)과 초록선(드레인선)은 막힘배관표시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하고 먼저그렸네요.
( 실제 기능과는 별도로 그릴때 편의상)
1. 맹플랜지(막힘플랜지) 배관의 끝을 마무리 할 떄 사용하며 차 후 배관청소나 배관연장의 필요성이 있을 때 엘보로 마지막 팬코일을 연장하지 않고 티를 사용하여 연장 후 막음처리 합니다.
그리고 상기 문제는 역환수 배관이기 때문에 답안처럼 그리지 않으면 더 복잡해 집니다.
2. 배관의 막힘표시는 설계상 필요시에 하는 부분이라 시험에서는 엘보로 표시해도 상관없습니다.
3. 역환수 배관이 되야 하기 때문에 이처럼 배관하면 직접환수가 되기 때문에 오답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