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 연속방정식의 정의 ]
질량유량 : 단위시간당 지나가는 유체의 질량으로 밀도를 포함한다.
체적유량 : 단위시간당 지나가는 유체의 체적으로 밀도를 소거한다.
연속 방정식 : 유체의 흐름에 질량보존의 방정식을 적용한 것으로
유체질량이 변화 없이 보존된다.
만약 유체가 기체라면 ? : 기체는 압축성 유체이기 때문에
체적 유량이 일정하다고 단정 할수 없다.
그러나 설비 분야 및 공조냉동기사 시험에서
다루는 기체는 저속의 비압축성기체만 다루기 때문에 정압변화를 가진다.
[ 1. 토출 밸브, 댐퍼의 개도율에 따른 변화 ]
제대로 이해한것 맞나요?
네, 맞습니다.
연속방정식 만 추가 설명하면
연속방정식은 질량유량입니다.
압축성 유체일 경우 밀도가 변하게 되면 Q에 밀도를 곱해 계산식을 완성해야합니다.
정리
비압축성은 밀도가 변화없기 때문에 Q1=Q2 가능
압축성유체에서 관로 중 밀도가 변한다면 G=밀도×면적×속도 공식 이용
보통은 수배관 비압축성 물이라서 Q1=Q2가능
송풍계통에서 공기는 압축성이지만 밀도(1.2kg/m3)가 변화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Q1=Q2로 계산가능합니다.
열심히 학습하시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