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문제
1. 냉풍 13도와 온풍 31도를 혼합하여 냉풍량 x값을 구하는건 이해가 되는데
정작 그 혼합된 취출공기의 온도가 왜 (26-8)하여 18도가 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온도차는 헌열 구할때 쓰는 걸로 알고있는데요.
강의를 들어도 이부분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2. (5) 외기현열 부하를 구하라, (6) 외기전열부하를 구하라에서
1번지점 OA를 놓고 생각하면 자꾸 헷갈립니다.
이중덕트에 장치도에 한해서
외기 = 배기로 알고있습니다.
OA = EA
저렇게 그림을 그리고 OA가아닌 EA로 위치를 생각하고 문제를 풀면 잘풀리는데
개념상도 그렇고 편의상 저렇게 풀어도 상관없겠지요.?
1. 말 그대로 입니다.
재해석을 하면 우선 실내 취출온도차가 8도로 주어졌고 실은26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실부하를 담당하기 위한 풍량은 2925kg/h 가 되죠.
다음은 이제 26도와 취출온도차 8도로 공급이니까
실에 공급하는 온도는 26-8=18도로 2925를 공급해야한다는 말이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혼합온도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냉풍을 χ로 하고 2925-χ=온풍으로 하여
이 둘을 혼합온도 18도로 만들기 위한 냉풍량을 구하면 됩니다.
(물론, 온풍을 x로 놓고 풀어도 같은 답이 나오지만 요구하는 조건이 냉풍이니 냉풍을 x로)
따라서
전체풍량(2925)×취출온도(18도)=냉풍(χ)×냉풍온도(13도)+온풍(2925-χ)×온풍온도(31도) 에서 냉풍량을 구하게 됩니다.
혼합온도 18도={(χ×13)+(2925-χ)×31}/2925
2. OA=EA 가 맞지만 이중덕트에서는 위 그림은 하나의 실에 분기되어 가는 풍량이라서 전체실의 풍량이 합해서 ②로 들어가는 그림이어야 합니다.
결론은 주어진 외기량을 갖고 계산하면 되는데 왜 EA위치로 생각해야 잘 풀리는지는 이해가 안되네요.
어째튼 외기량이 곧 배기량입니다.
원하는 답을 주지 못 해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