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429p. 응축, 증발 온도 상승시 ph선도변화 문의
장*추2024.07.21답변완료

 

 

0. 문제와 해답

 

 

 

 

여기서 응축온도 상승,  증발온도 상승할때 Ph선도의 변화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1. 응축온도 상승 

 

 

 

 

응축온도 상승이 ph선도가 이렇게 변하지 않습니까? 

 

 

 

 

3-4선이 제가 빨간색으로 칠한 부분이 아닌 초록색선에 형성이 되는데 이 이유가 궁긍합니다.

 

 

 

 

 

T-S선도 상에서 T2-T3이 상승해서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상승 -> ph선의 3-4선의 엔탈피값이 상승하여 우이동" 

이렇게 이해해야 하나요? 

 

 

 

 

2. 증발온도 상승 

 

 

 

 

 

증발온도 상승 ph선도도 이렇게 그려지는데...

 

 

 

 

 

왜 1-2선이 빨간색선이 아닌 초록색선으로 엔탈피가 감소하여 그려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T-S 선도 상에서 증발온도가상승 ->  압축기의 토출온도가 감소( TS 1-2선 좌이동)

-> Ph선의 1-2선의 엔탈피가 감소하여 좌이동"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답변강희중2024.07.21 12:38

1. 설계 전과 후로 생각하면 됩니다. 

  문제는 설계 후 운전중인 냉동기라는 전제하에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이미 설계된 응축기에서 제거하는 응축열량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응축 온도 상승 시 냉각할 수 있는 양은 온도 상승전의 양으로 냉각하면 그림과 같이 적색까지 냉각할 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따라서 그림과 같은 냉동사이클이 됩니다.

참고) 설계 전 단계라면 응축온도를 올리면 그만큼 응축열량이 많아지게 설계되면서 결과적으로 안좋습니다. 

 

 

2. 증발온도 상승 시 ph 그림은 건포화증기선과 같이 그려야 하며 이때 냉동효과는 증가되고 압축일량은 줄어드는 사이클이 됩니다. 첨부하는 그림 참조

 이때 응축 온도상승 시 발생하는 문제와 달리 팽창밸브 직전의 온도는 그대로 유지되게 운전되며(응축시키는 열매체의 온도 한계) 단지 압축일과 응축열이 줄어들면서 성적계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T-S 선도상에서 온도와 엔트로피 관계로 엔탈피 해석이 어려워 잘 해석하지 않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