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을 할경우 열 수분비를 이용할떄랑 그냥 엔탈피 선에 일직선으로 연결할때랑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언재는 열수분비를 이용하고 언재는 엔탈피 선을 이용해서 좀 헷갈리네요
또 습공기 선도를 작도하다보면 조금씩 오차가 있는데 시험장에선 조금의 오차는 봐주시나요?
가습은 순환수가습, 온수가습, 증기가습 등으로 나뉘며
모두 열수분비선을 따라 이동합니다.
여기서 순환수가습은 공기와 같은 온도의 순환수가 계속 순환하며 물의 자연 증발을 이용하여 가습하는 것으로
열수분비값은 [U=0/가습량] 으로 순환수와 공기와의 엔탈피차를 0으로 보기 때문에 열수분비는 0이 됩니다.
이는 단열상태이며 U=0인 선을 공기의 엔탈피가 변화없는 것으로 가정하여 엔탈피선으로 보는 것입니다.
결론, 순환수가습은 등엔탈피선이며 이 선은 열수분비 0인 선입니다
네 채점시 약간의 오차는 수험자간에도 발생하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작도의 방법 만 맞다면 범위내에서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하지만 정답 범위로 채점하는지 작도 방법으로 하는지의 세세한 부분은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저도 잘 모릅니다.
참고사항) 실제 수분무 가습시 따라가는 선은 가습하는 만큼 공기온도가 떨어지는 습구온도선을 따라가는 것이 이론적으로 맞지만
이는 설계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단열가습으로 가정하여 순환수가습은 엔탈피선을 따라가게 설계합니다.
이 부분의 정확한 해석은 저도 계속 연구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