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2차 실기를 준비중인 사람입니다
교재의 실기문제를 풀다보니까 증가율을 구하는 문제에서 두가지 방식으로 문제를 풀던데요
예를 들면 값이 큰쪽에서 나누어주는 방식과 값이 작은 쪽에서 나누어주는 방식 이렇게 두가지로 되어있던데 왜 다른가요
즉 실기 2021년 제2회 14번 문제에서 마지막에 증가율을 구할 때
(2434-2415)/2415로 풀었는데 다른 문제에선는 큰 값으로 나눈 것 같거든요
왜 이 둘의 차이가 발생하나요?
실기강의 참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아참 그리고 삼각자가 필요하나요...SHF선을 그을 때 삼각자를 이용하라고 하던데 준비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럼 좋은 하루되시길
문제의 해석차이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누고 있습니다.
증가율에 대한 개념은 여러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데
처음의 값에서 나중의 값의 차에 대한 증가율도 있고
단순 처음에서 나중의 비율을 요구하거나
나중의 값에서 처음의 비율을 요구하는 등이죠.
또 기출문제는 복원문제이고 정확하지 않은 문제에 대한 해석이다보니 학습자와 다소 의견차가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우선 풀이 대로 학습하면서 의문가는 문제는 질문하시면 검토 후 답변 드리겠습니다.
21년 2회 14번 문제같은 경우는 1단 팽창에 대한 2단팽창의 증가율을 구하라는 조건으로 두 성적계수의 차에서 처음의 값이 1단 팽창의 성적계수를 나눠서 1단에 대한 증가율로 풀이 하였습니다.
삼각자가 필요한 경우는 습공기선도에서 선도에서 작도하는 문제가 나왔을 경우입니다. 나올 수도 있고 안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우선 챙겨가셔야 하고요.
정확한 SHF선을 찾기 위해서는 삼각자 두 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평행선 그리기에 자신이 있다면 일반 투명 30cm자도 사용 할 만 합니다.
하지만 실기 시험은 합격 점수대가 수개월 동안 준비한다해도 높지 않은 편이라
답안 하나 하나마다 정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